정부 '바이오 소·부·장' 국산화에 850억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관 연대협력 협의체 출범

산업통상자원부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기업은 24일 서울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에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식을 열었다.
이날 협의체엔 성윤모 산업부 장관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소재·부품·장비를 사는 기업 13곳이 참여했다. 국산화엔 아미코젠과 동신관유리공업, 에코니티, 제이오텍 등 소재·부품·장비 기업 42곳이 나선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 규모는 2019년 기준 2조6000억원이다. 전년 대비 16.6% 늘었다. 하지만 생산 장비 국산화율은 16.5%에 그친다.
정부는 이날 바이오의약품 회사의 바이오 플랜트 압력용기 개방 검사 주기를 2년에서 4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바이오 플랜트 압력용기는 세포 배양 또는 배양용 배지 등의 보관에 사용하는 설비다. 바이오업계는 그동안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을 맞추기 위해 2년에 한 번 설비를 멈춘 뒤 검사를 받았다. 설비를 멈춰세우면 다시 돌리는 데 40~48일이 걸려 손실이 작지 않았다. 이정석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회장은 “바이오의약품 수탁생산(CMO) 기업과 백신 기업에 최소 수천억원대의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