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사, 임금 1.8% 올리기로…인상분 절반은 취약계층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점심시간 확대는 내년 논의키로
금융업권 노사가 올해 임금 인상률 1.8%에 합의했다. 노조 측은 인상분 절반을 취약 계층을 위해 내놓기로 했다. 나머지 절반도 지역화폐와 온누리상품권 등으로 받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고통받는 지역 경제를 살리는 데 기여하기로 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과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이날 올해 임금을 1.8% 인상하는 안에 잠정 합의했다. 금융노조는 은행과 금융공기업 등 37개 지부로 구성돼 있다. 조합원 수는 10만 명 규모다.
노사는 인상분의 절반인 0.9%를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로 했다. 인상분 0.4%는 협력업체 등 저임금 직군의 근로조건 개선에 활용하고, 나머지 0.5%는 근로복지진흥기금에 기부할 예정이다.
이 내용은 지난 7월 28일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선언’에서 금융 노사가 합의한 내용을 구체화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당시 노사정 선언에는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실업자·무급휴직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자영업자 등에 대한 실업 대책과 고용안정, 생계안정 대책에 적극 나선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노조 측은 나머지 0.9%도 지역화폐나 온누리상품권 등으로 받는 데 합의했다. 지역 사회 소비를 활성화한다는 차원에서 ‘연대임금’이라는 표현을 넣기로 했다.
중식 시간 휴식 문제는 내년으로 결정을 미뤘다. 실태 조사를 벌여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남성 출산휴가(육아휴직) 문제는 1개월 사용을 권장하되, 단체협약엔 넣지 않고 선언문에 넣을 전망이다. 금융 노사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임금 및 단체협약 조인식을 28일 열 예정이다.
올해 금융 노사 임단협은 지난 4월 시작됐다. 사용자협의회는 임금 동결, 노조는 3.3% 인상안을 제시해 접점을 찾기 힘들었다. 협상이 결렬된 뒤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절차가 진행되기도 했다. 금융노조는 파업 등 쟁의 행위 절차를 밟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교섭을 반복해 이번 합의에 이르렀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전 국민이 고통받는 가운데, 노사 양측이 임단협을 빨리 마쳐야 한다는 데 공감을 이룬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과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이날 올해 임금을 1.8% 인상하는 안에 잠정 합의했다. 금융노조는 은행과 금융공기업 등 37개 지부로 구성돼 있다. 조합원 수는 10만 명 규모다.
노사는 인상분의 절반인 0.9%를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로 했다. 인상분 0.4%는 협력업체 등 저임금 직군의 근로조건 개선에 활용하고, 나머지 0.5%는 근로복지진흥기금에 기부할 예정이다.
이 내용은 지난 7월 28일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선언’에서 금융 노사가 합의한 내용을 구체화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당시 노사정 선언에는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실업자·무급휴직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자영업자 등에 대한 실업 대책과 고용안정, 생계안정 대책에 적극 나선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노조 측은 나머지 0.9%도 지역화폐나 온누리상품권 등으로 받는 데 합의했다. 지역 사회 소비를 활성화한다는 차원에서 ‘연대임금’이라는 표현을 넣기로 했다.
중식 시간 휴식 문제는 내년으로 결정을 미뤘다. 실태 조사를 벌여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남성 출산휴가(육아휴직) 문제는 1개월 사용을 권장하되, 단체협약엔 넣지 않고 선언문에 넣을 전망이다. 금융 노사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임금 및 단체협약 조인식을 28일 열 예정이다.
올해 금융 노사 임단협은 지난 4월 시작됐다. 사용자협의회는 임금 동결, 노조는 3.3% 인상안을 제시해 접점을 찾기 힘들었다. 협상이 결렬된 뒤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절차가 진행되기도 했다. 금융노조는 파업 등 쟁의 행위 절차를 밟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교섭을 반복해 이번 합의에 이르렀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전 국민이 고통받는 가운데, 노사 양측이 임단협을 빨리 마쳐야 한다는 데 공감을 이룬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