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정치 無관심…'굿 스타트, 배드 피니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변에서 본 김종인
선거 끝난 뒤 늘 안좋게 결별
"나를 따르라" 독불장군 스타일
8월 수해 땐 "호남 내려가자"
빠르고 간결한 의사결정
선거 끝난 뒤 늘 안좋게 결별
"나를 따르라" 독불장군 스타일
8월 수해 땐 "호남 내려가자"
빠르고 간결한 의사결정
‘비례대표 의원만 다섯 번, 선거의 달인, 여야를 넘나드는 행보.’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보여주는 설명이다. 직설적인 언사와 거침없는 당 인물 교체, 선 굵은 정책 제시로 늘 등장과 함께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그의 정치 이력을 두고 ‘굿 스타트, 배드 피니시(시작은 좋지만 끝이 안 좋다, 박지원 국가정보원장)’라는 평가도 있다. 선거가 끝난 뒤엔 늘 당과 좋지 않게 결별한 것을 지적한 말이다.
김 위원장은 독일 유학을 통해 경제이론의 토대를 쌓으면서 경제 이슈 선점에 탁월한 능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할아버지인 가인 김병로가 1962년 야권 지도자로 나설 때 김 위원장도 보좌관으로 정계에 발을 들이면서 정치 감각을 키웠다. 20대 나이에 보좌관으로 일하면서 ‘정치인은 믿기 힘든 존재’라는 걸 깨달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자리를 맡을 때는 유난히 ‘전권’에 집착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1988년 정권 출범 초기 그에게 경제수석을 맡기려 했을 때 요구했던 것도 경제 관련 장관들을 다 자신이 선임할 수 있는 ‘전권’이었다. 한나라당(현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서 선거를 앞두고 불렀을 때도 전권 행사를 요구했다.
당내 반발 등 장애물에 부딪힐 때 설득과 포용보다는 사퇴와 당무 거부라는 벼랑끝 리더십을 택했다. 2012년 대선 때 무려 다섯 번이나 당무 거부를 선언한 전례가 있다.
김 위원장은 당 인사들을 자기 사람으로 만들면서 세를 확장하는 정치인이라기보다 일방적인 지시를 내리면서 ‘나를 따르라’ 하는 ‘독불장군’ 스타일에 가깝다는 시각도 있다. 정책가로 일할 때도 최고권력자의 힘을 이용해 위에서 아래로 찍어 누르는 방식으로 자신의 뜻을 관철했다. 1987년 개헌 과정에서는 경제민주화 조항(119조 2항)을 넣기 위해 전두환 당시 대통령을 직접 설득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의 언행은 ‘심플’하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하지만 툭 던지는 어투에 담긴 내용에 정치권은 즉각 반응한다. 김선동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시대를 꿰뚫는 직관이 있다”며 “잔가지가 별로 없는 스타일로 의사결정도 빠르고 간명하다”고 했다. 지난 8월 수해가 발생했을 때 “호남에 내려가자”고 바로 결정한 것도 김 위원장이었다. 지상욱 여의도연구원장은 “언제 가냐고 물어보니 당장 오늘 오후에 가자고 하더라”며 “대응이 한 템포 빠르다”고 평가했다.
정면돌파형 리더십은 때론 독단으로 비치기도 한다.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은 “비대위가 임시 조직이라도 당의 지도부인데 별동대 비슷하게 움직인다”며 “지금도 위원장만 돋보이고 나머지 비대위원은 뭘 하는지 드러나지 않는다”고 했다.
이런 원사이드 리더십이 결국 선거가 끝난 뒤 당과 틀어지는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도 있다. 사람을 포섭하고 끌고 가는 능력이 없고, 당내 정치에도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정치 권력의 필요에 따라 활용되는 ‘얼굴마담’일 뿐이란 혹평도 있다. 김 위원장은 “배신당했다”고 말하지만 2012년 대선, 2016년 총선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과 틀어진 게 대표적이다.
고은이/김소현 기자 koko@hankyung.com
김 위원장은 독일 유학을 통해 경제이론의 토대를 쌓으면서 경제 이슈 선점에 탁월한 능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할아버지인 가인 김병로가 1962년 야권 지도자로 나설 때 김 위원장도 보좌관으로 정계에 발을 들이면서 정치 감각을 키웠다. 20대 나이에 보좌관으로 일하면서 ‘정치인은 믿기 힘든 존재’라는 걸 깨달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자리를 맡을 때는 유난히 ‘전권’에 집착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1988년 정권 출범 초기 그에게 경제수석을 맡기려 했을 때 요구했던 것도 경제 관련 장관들을 다 자신이 선임할 수 있는 ‘전권’이었다. 한나라당(현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서 선거를 앞두고 불렀을 때도 전권 행사를 요구했다.
당내 반발 등 장애물에 부딪힐 때 설득과 포용보다는 사퇴와 당무 거부라는 벼랑끝 리더십을 택했다. 2012년 대선 때 무려 다섯 번이나 당무 거부를 선언한 전례가 있다.
김 위원장은 당 인사들을 자기 사람으로 만들면서 세를 확장하는 정치인이라기보다 일방적인 지시를 내리면서 ‘나를 따르라’ 하는 ‘독불장군’ 스타일에 가깝다는 시각도 있다. 정책가로 일할 때도 최고권력자의 힘을 이용해 위에서 아래로 찍어 누르는 방식으로 자신의 뜻을 관철했다. 1987년 개헌 과정에서는 경제민주화 조항(119조 2항)을 넣기 위해 전두환 당시 대통령을 직접 설득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의 언행은 ‘심플’하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하지만 툭 던지는 어투에 담긴 내용에 정치권은 즉각 반응한다. 김선동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시대를 꿰뚫는 직관이 있다”며 “잔가지가 별로 없는 스타일로 의사결정도 빠르고 간명하다”고 했다. 지난 8월 수해가 발생했을 때 “호남에 내려가자”고 바로 결정한 것도 김 위원장이었다. 지상욱 여의도연구원장은 “언제 가냐고 물어보니 당장 오늘 오후에 가자고 하더라”며 “대응이 한 템포 빠르다”고 평가했다.
정면돌파형 리더십은 때론 독단으로 비치기도 한다.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은 “비대위가 임시 조직이라도 당의 지도부인데 별동대 비슷하게 움직인다”며 “지금도 위원장만 돋보이고 나머지 비대위원은 뭘 하는지 드러나지 않는다”고 했다.
이런 원사이드 리더십이 결국 선거가 끝난 뒤 당과 틀어지는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도 있다. 사람을 포섭하고 끌고 가는 능력이 없고, 당내 정치에도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정치 권력의 필요에 따라 활용되는 ‘얼굴마담’일 뿐이란 혹평도 있다. 김 위원장은 “배신당했다”고 말하지만 2012년 대선, 2016년 총선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과 틀어진 게 대표적이다.
고은이/김소현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