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는 투기라더니…"서울서 30대가 가장 많이 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상훈 의원, 2019년~2020년 8월 서울 갭투자 조사
7만1564건 중 30대가 2만1996건(30.7%) 차지
"갭투자 투기로 몰았지만, 실수요자 내집 마련 가능성"
7만1564건 중 30대가 2만1996건(30.7%) 차지
"갭투자 투기로 몰았지만, 실수요자 내집 마련 가능성"

28일 국토교통부가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국토교통위원회 소속)에게 제출한 ‘수도권 연령대별 주택거래 현황’에 따르면, 2019년에서 2020년 8월간 서울의 갭투자 7만1564건 중 30대가 2만1996건으로 30.7%를 차지했다. 연령별로 가장 많은 비중이었다. 20대 또한 3939건으로 5.5%였다. 서울의 갭투자자 3명 중 1명은 2030세대인 셈이다.
서울 외 경기도 성남(36.2%), 과천(33.3%), 광명(29.9%), 안양(35.2%), 구리(32.2%)에서도 갭투자 중 30대 비율이 최다였다. 내집 마련을 위해 일단 ‘전세끼고 사놓는’ 청년 세대의 갭투자가 서울을 넘어 수도권 전역에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김상훈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갭투자 규제를 강화했지만, 30대 중심의 실수요는 이어지고 있다"며 "실수요와 투기를 구분하지 않은 무분별한 갭투자 규제는 자칫 2030청년세대의 내집마련 사다리를 걷어차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