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달러 아래로 내려간 금값…"조정시 매수해야"[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단기 달러 강세에 금값 '주춤'
금값 상승 환경 유효…"매수"
금값 상승 환경 유효…"매수"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99.14064591.1.jpg)
금값, 온스당 3000달러도 간다고 했는데
2일 시카고상품거래소(COMEX)에 따르면 금값은 지난달 24일 온스당 1876.9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7월23일 이후 처음으로 1900달러선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금값은 지난 8월7일 온스당 2028.0달러까지 올랐지만, 그 뒤 하락하면서 1800달러대까지 내려온 것이다.그간 금값이 오를 수 있었던 배경은 주요국이 코로나19로 붕괴된 경제를 살리기 위해 유동성(자금) 공급을 확대한 덕분이다. 이 같은 양적완화 정책은 실질 금리를 끌어내리고 시중에 통화량을 늘린다. '돈값'이 떨어지면서 고유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무(無) 이자자산'인 금이 부각된 것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99.19747053.1.jpg)
달러 갑자기 강세로 돌아서, 유로화 주춤·美 부양책 합의 불발
하지만 천정부지로 치솟던 금값에 제동이 걸렸다. 달러가 강세로 돌아서면서다. 금은 달러화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가치 강세는 금의 상대적 가치를 낮춘다.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유럽에서 코로나19가 다시 퍼지면서 유로화 강세에 제동을 걸었고, 미국 재정정책을 두고 합의가 길어지면서 불안감이 커졌다"며 "이에 투자심리가 훼손되면서 안전자산으로서 수요가 늘어난 점이 달러를 밀어올렸다"고 판단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009/99.18320411.1.jpg)
단기 조정은 매수 기회…"금값, 2200달러까지 오를 것"
달러 강세로 금값이 주춤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포트폴리오(투자자산군)에 금을 담아야 할 지를 두고 고민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는 금이 단기적으로 조정 받는 시기는 매수 기회라고 조언한다.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금값 상승에 유효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달러가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재정지출 확대로 정부의 부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금리 상승을 억제할 가능성이 높아서다.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도 "미국 중앙은행(Fed) 주도의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유지되는 한 금이 정점을 통과했다는 우려는 너무 이르다"며 "금 가격은 향후 12개월 내 2200달러까지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