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해도 노력하면 좋은 대학과 좋은 직장에 갈 수 있다’는 말에 동감하는지 물어본 결과 61.4%가 ‘그렇다’고 답했다. 청년층의 자신감은 더 높았다. 18~29세는 68.1%, 30대는 63.3%가 노력으로 학업·직업의 성취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청년의 자신감은 ‘좋은 대학에 진학하는 데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라는 질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질문에 18~29세는 62.8%가 ‘학생 본인’이라고 답했다. ‘부모’라는 답은 22.5%에 그쳤다. 전체 연령대 응답률은 학생 본인이 56.2%, 부모가 28.5%였다.
‘한국은 노력하면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이 가능한 사회’라는 말에도 전체 50.7%가 긍정했다. ‘부모님이 가난해도 자녀 세대는 노력해서 재산을 축적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46.2%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부모 세대에 비해 현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 가능성이 커졌는가’라는 질문에 ‘높아졌다’는 답은 31.2%, ‘비슷하다’는 25.7%였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