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대통령선거가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의 일이다. 오랜 외국인 투자자들이 KT를 찾았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매번 외풍에 시달렸던 KT의 과거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황창규 회장의 거취를 두고도 여러 말이 오가던 시절이다.

당시 경영기획부문장이던 구현모 대표가 이들을 맞았다. 주주들의 우려는 통신요금 인하와 신사업 추진으로 인한 실적 악화였다. 구 대표는 2시간 동안 사업 방향을 상세히 설명하고 KT를 신뢰해달라고 적극적으로 설득했다. 그는 주주들에게 “KT의 주력사업은 통신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통신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 통신 사업 비중을 낮추겠다”고 강조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구 대표의 설명을 듣고 환하게 웃으며 떠났다는 후문이다. 통신업계에서 구 대표를 두고 “뱃심이 있고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있다”고 평가하는 이유를 설명해주는 일화다.
일러스트=조영남 기자   jopen@hankyung.com
일러스트=조영남 기자 jopen@hankyung.com

33년 근무한 ‘정통 KT맨’

구 대표는 1987년 KT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해 올해 3월 재계 12위인 KT그룹을 책임지는 수장이 됐다. 33년 동안 KT에서만 근무한 ‘정통 KT맨’이다. 2002년 민영화된 KT의 최고경영자(CEO)로 내부 인사가 선임된 것은 2005년 취임한 남중수 사장이 2008년 11월 물러난 이후 처음이다. 관료 출신인 이석채 회장과 삼성전자 기술총괄사장을 지낸 황창규 회장 등 외부 출신 CEO에 이어 12년 만에 내부 인사가 KT를 이끌게 됐다.

그는 KT에서 경영전략 담당, 비서실장, 경영지원총괄 사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사내에선 ‘전략통’으로 손꼽혔다. 2009년 KT 그룹전략1담당 상무보 시절에는 당시 최대 현안인 KT와 KTF 합병을 주도했다. ‘알짜기업’으로 손꼽히는 디지털 미디어 렙 나스미디어를 2008년 인수할 때도 핵심 역할을 했다. KT 관계자는 “KT의 크고 작은 인수합병(M&A) 상당수는 구 대표의 손을 거쳤다”고 말했다.

세부 사업은 위임하고 혁신 집중

그가 취임하면서 바뀐 변화 가운데 하나는 대표이사의 직급이다. 회장에서 사장으로 ‘강등’됐다. 이사회의 요구가 있었고 구 대표도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회장 체제에선 조직의 크고 작은 의사결정이 한곳으로 지나치게 집중될 수밖에 없다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구 대표는 “사업의 세부적인 내용은 각 부문장에게 최대한 위임하려고 한다”며 “외부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선 빠른 의사 결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대신 기존 조직 구조에서 해결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풀기 위한 ‘별동대’를 새로 꾸렸다. 지난 4월 출범한 혁신 전담 조직 ‘BDO(Business Development & Operation) 그룹’이다. 20대 사원부터 40대 고참 부장까지 300여 명이 뭉쳤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비롯한 다양한 신사업을 발굴하고 있다. 구 대표는 “빠르게 바뀌는 세상만큼 일하는 조직도 빠르고 유연해야 한다”며 “BDO 그룹은 ‘고객발 자기혁신’의 최선봉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6월 꾸려진 ‘Y컬처팀’은 조직 내 소통을 확대하는 역할을 맡았다. 총 5명인 이 팀의 평균 연령은 팀장 포함 만 29세다. 30대 과장급 직원이 통상 부장급인 팀장 직책을 맡은 것은 KT 역사상 처음이다.

“AI·빅데이터·클라우드…‘ABC’ 다 갖춘 디지털 강자”

CEO 취임 이후 구 대표의 가장 큰 관심사는 주가다. 그는 KT의 기업가치가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구 대표는 최근 기자와 만나 “KT는 통신기업이기도 하지만 통신을 기반으로 인터넷데이터센터(IDC), 클라우드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주요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며 “아직까지 KT의 이런 부분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취임 직전인 3월 1억원가량의 자사주를 산 것도 이런 확신의 발로다. 올해 들어 여러 차례 국내 주요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비공개 간담회를 한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구 대표의 최근 메시지를 보면 이런 생각이 잘 드러난다. 7월 임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그는 “통신 사업자에 머물지 않고 ‘통신에 기반을 둔 플랫폼 사업자’로 바뀌어야 계속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촉발한 비대면 환경에서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수요가 커지고 있는 만큼 KT가 보유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역량을 기반으로 다른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5~10년 뒤엔 로봇·디지털헬스가 먹거리”

올해 꾸려진 ‘AI 원팀’은 플랫폼 사업자 변신을 위한 핵심 전략이다. AI 기술을 다른 기업으로 확산시켜 디지털 전환 수요를 늘리겠다는 것이다. ‘국민기업’ KT답게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기술인 AI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는 생각도 담았다.

AI 원팀에는 KT를 비롯해 경쟁사인 LG유플러스부터 현대중공업그룹, LG전자, 한국투자증권, 동원그룹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한양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대학과 연구기관도 포함됐다. AI 기술과 경험을 공유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AI 전문 인재도 확보하는 게 이들의 목표다.

변화는 착실하게 이뤄지고 있다. 구 대표는 “AI, 로봇, 디지털헬스 등에 집중해 5~10년 뒤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국내 1위 로봇기업인 현대로보틱스에 500억원을 투자해 지분 10%도 확보했다. 디지털헬스 분야에선 아산병원, GC녹십자헬스케어 등과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있다. 필요하다면 전략적 투자도 적극적으로 하겠다는 생각이다. 구조적 변화를 통해 ‘성장 스토리’를 만들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기업가치를 높인다는 게 구 대표가 세운 목표다.

■ 구현모 KT 대표

△1964년 충남 아산 출생
△1987년 서울대 산업공학과 졸업
△1987년 KT경제경영연구소 입사
△1998년 KAIST 경영공학 박사
△2004년 KT 경영전략실 출자관리팀장
△2014년 비서실장 겸 전략담당
△2017년 경영지원총괄
△2019년 커스터머&미디어부문장
△2020년 KT 대표이사 사장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