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인수합병으로 전장·로봇·AI 사업 경쟁력 높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창간 56주년] 다시 뛰는 국가대표 기업들
'136명'
LG는 ‘국가와 사회정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의인에게 기업이 보답한다’는 고(故) 구본무 LG 회장의 뜻에 따라 2015년 9월 ‘LG 의인상’을 제정했다. 현재까지 경찰, 군인, 소방관, 굴착기 기사 등 총 136명이 상을 받았다.
'136명'
LG는 ‘국가와 사회정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의인에게 기업이 보답한다’는 고(故) 구본무 LG 회장의 뜻에 따라 2015년 9월 ‘LG 의인상’을 제정했다. 현재까지 경찰, 군인, 소방관, 굴착기 기사 등 총 136명이 상을 받았다.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쇼 ‘CES 2020’ 관람객들이 LG전자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사이니지(상업용 디스플레이) ‘새로운 물결’을 살펴보고 있다. LG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08361.1.jpg)
AI 결합한 스마트가전 개발
![구광모 회장](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18990.1.jpg)
최근 코로나19로 관심이 더욱 높아진 스타일러(의류관리기), 의류건조기, 공기청정기, 식기세척기, 무선청소기 등 위생가전의 해외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로봇을 미래 성장동력의 한 축으로 삼고 산업용부터 서비스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관련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로봇을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기 위해 LG전자는 2018년 로봇사업센터를 설립했다. 엔젤로보틱스, 로보티즈, 아크릴, 보사노바로보틱스 등 로봇 관련 스타트업에 지분도 투자했다.
전기차 배터리 집중 육성
![LG, 인수합병으로 전장·로봇·AI 사업 경쟁력 높인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39891.1.jpg)
수주 물량의 안정적인 공급과 향후 시장 확대에 대비해 생산 능력도 키울 예정이다. 올해 5조원대의 시설 투자 중 절반 이상을 배터리 사업에 투입하는 등 연말까지 전기차 배터리 생산능력을 고성능 순수 전기차 기준 170만 대(100GWh)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 GM과의 전기차 배터리셀 합작법인 설립도 차질 없이 준비해 30GWh 이상의 추가 생산 능력도 확보할 계획이다.
물적분할을 통해 오는 12월 배터리 사업을 전담하는 신설법인인 ‘LG에너지솔루션’(가칭)도 공식 출범한다. 전문 사업분야에 더욱 집중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여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를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신설법인의 올해 예상 매출은 13조원. 2024년까지 매출 30조원을 달성해 세계 최고의 배터리 기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OLED 신(新)공장…격차 벌린다
![LG, 인수합병으로 전장·로봇·AI 사업 경쟁력 높인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08330.1.jpg)
LG유플러스는 비대면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5G로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해 성장을 이끌어간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통신서비스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5G를 기반으로 클라우드와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을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인 ‘U+5G 서비스 3.0’을 선보이고 고객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계획이다. 본사에서 자체 검증한 ‘AI 얼굴인식 출입통제 시스템’을 외부로 확장하는 등 정보기술(IT) 신기술을 바탕으로 비대면 사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