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야심작 마산해양신도시, 스마트+그린 상징 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공·수익 두토끼 잡는다"
인공섬 64만㎡ 공사비만 3400억
32%는 복합개발 공모해 자본유치
국제회의장·컨벤션·숙박시설 조성
나머지는 공원·미술관으로 활용
인공섬 64만㎡ 공사비만 3400억
32%는 복합개발 공모해 자본유치
국제회의장·컨벤션·숙박시설 조성
나머지는 공원·미술관으로 활용

경남 창원시는 마산만을 매립해 조성한 인공섬 마산해양신도시를 ‘스마트 기술에 기반한 세계적 감성도시’로 개발한다고 13일 발표했다.
시는 수익성과 공공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전략으로 ‘스마트한 공간’과 ‘자연친화 및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개발 방향을 구분해 설정했다.
‘스마트한 공간’은 민자 유치구역(20만3119㎡)으로 복합개발 공모를 통해 국내외 자본을 끌어와 조성한다. 이곳에는 국제 경쟁력을 갖춘 국제회의장과 체류형 관광호텔 및 컨벤션, 해양신도시의 도심 공동화 방지를 위한 오피스텔과 생활형 숙박시설이 들어선다.
전체의 68%인 43만9000㎡는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공공 개발한다. 시는 공원·녹지·정원 등 환경 친화시설과 도서관, 디지털 혁신타운,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등 국책사업을 유치하는 방법으로 공공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돝섬과 마산해양신도시를 다리로 연결하고 해양신도시 둘레를 따라 3.15㎞ 길이 수변 산책로, 매립·산업화 과정에서 마산만에서 사라진 해수욕장을 되살리는 취지로 백사장도 조성할 계획이다.
총공사비 3403억원 규모의 마산해양신도시는 정부가 2003년 말부터 국책사업으로 추진한 마산항 내 가포신항 건설 과정에서 나온 준설토로 마산만을 매립해 만든 인공섬이다. 2013년 개발계획이 확정된 뒤 호안 축조, 준설토 반입, 연약지반 개량 등 기반 조성 공사는 지난해 12월 완료했다. 2018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민간개발자 공모에 나섰지만 모두 무산됐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그동안 추진해온 민간개발 위주의 방식은 민간에서 원하는 수익성과 시와 시민이 바라는 공익성 사이에 큰 괴리가 있었다”며 “민간 자본을 일정 부분만 유치해 시의 재정 부담을 줄이는 한편 시민이 원하는 공공성과 공익성도 최대한 반영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