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비상걸린 농식품부…"권역별 차단으로 전국 확산 막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1년만에 재발하면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ASF가 전국으로 확산돼 돼지를 집단 살처분하게 되면 양돈 농가는 물론 소비자 피해도 클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만, 작년 이후 권역별 차량이동 통제에 주력해 전국적인 확산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9일과 11일 ASF 발생이 각각 확인된 강원 화천의 돼지농장 2곳과 예방적 살처분 대상 농장 3곳의 돼지 4077마리 살처분 작업이 완료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살처분된 돼지를 고열로 처리한 후 매몰 작업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ASF 발생 농장과 인접한 경기·강원북부 및 인접 14개 시군의 양돈농장 395곳은 ASF 검사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ASF 발생 이후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하고 있다. 지난 8일부터는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주 3회 진행하던 회의를 중수본부장인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 주재로 매일 여는 등 방역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중수본은 943대의 소독장비를 활용해 전국 양돈농장 6066곳을 일제 소독하고, 도로에 소독시설을 추가 설치하는 등 소독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ASF 확산 가능성은 지난해에 비해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위험지역 농장 방문차량을 권역별로 나눠 통제하고 있어서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ASF 발생 이후 사료 배송 차량과 분뇨 처리 차량 등이 ASF 감염 야생멧돼지의 주요 출몰 지역인 경기북부와 강원북부 지역 바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9월 경기 연천에서 ASF가 발생했을 때 해당 농장과 같은 사료 차량 등이 출입한 농장은 전국 10개 시도 73개 시군에 넓게 퍼져있었던 반면, 올해 화천 농장은 강원과 경기 등 2개 시도 10개 시군과 차량을 공유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향후 10여일이 전국 확산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9월 ASF가 경기 파주와 연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약 5~6일간은 잠잠하다가 이후 10여곳이 연쇄 확진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김현수 중수본부장은 "ASF 발생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높다고 여겨지는 지역은 더 집중적으로 소독해야한다"며 "농장에서도 손씻기와 장화 갈아신기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1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9일과 11일 ASF 발생이 각각 확인된 강원 화천의 돼지농장 2곳과 예방적 살처분 대상 농장 3곳의 돼지 4077마리 살처분 작업이 완료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살처분된 돼지를 고열로 처리한 후 매몰 작업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ASF 발생 농장과 인접한 경기·강원북부 및 인접 14개 시군의 양돈농장 395곳은 ASF 검사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ASF 발생 이후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하고 있다. 지난 8일부터는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주 3회 진행하던 회의를 중수본부장인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 주재로 매일 여는 등 방역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중수본은 943대의 소독장비를 활용해 전국 양돈농장 6066곳을 일제 소독하고, 도로에 소독시설을 추가 설치하는 등 소독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ASF 확산 가능성은 지난해에 비해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위험지역 농장 방문차량을 권역별로 나눠 통제하고 있어서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ASF 발생 이후 사료 배송 차량과 분뇨 처리 차량 등이 ASF 감염 야생멧돼지의 주요 출몰 지역인 경기북부와 강원북부 지역 바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9월 경기 연천에서 ASF가 발생했을 때 해당 농장과 같은 사료 차량 등이 출입한 농장은 전국 10개 시도 73개 시군에 넓게 퍼져있었던 반면, 올해 화천 농장은 강원과 경기 등 2개 시도 10개 시군과 차량을 공유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향후 10여일이 전국 확산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9월 ASF가 경기 파주와 연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약 5~6일간은 잠잠하다가 이후 10여곳이 연쇄 확진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김현수 중수본부장은 "ASF 발생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높다고 여겨지는 지역은 더 집중적으로 소독해야한다"며 "농장에서도 손씻기와 장화 갈아신기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