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과 달리 돈 흐름 깜깜…정관계 실력자에 '로비 흔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옵티머스 4000억 행방 묘연
이헌재·前 법무장관 등 전관 내세워 펀드 팔고 돌려막기
자금 상당액 부실채권·리조트 PF 등 부동산으로 흘러가
"돈 빼돌리려 문제 사업장에만 투자한 듯…작심하고 사기"
이헌재·前 법무장관 등 전관 내세워 펀드 팔고 돌려막기
자금 상당액 부실채권·리조트 PF 등 부동산으로 흘러가
"돈 빼돌리려 문제 사업장에만 투자한 듯…작심하고 사기"
5000억원대 펀드 사기를 벌인 옵티머스 경영진은 3년 전 옵티머스자산운용 경영권을 인수하자마자 사기 행각을 벌였다. 시작부터 전관을 앞세웠다. 통하지 않는 곳이 없었다. 검찰 조사나 금융감독원 검사를 어떤 이유에서인지 잘 피했고, 공공기관 자금도 유치했다.
김재현 옵티머스운용 대표(구속)는 이헌재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과 친구 사이인 양호 전 나라은행장과 손잡은 뒤 거침이 없었다. 그는 금감원 사람들을 만나면 “이헌재 전 부총리가 회사 고문을 맡고 계십니다”라는 인사말을 했다. 하지만 실제 이 전 부총리가 역할을 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공공기관 자금 유치나 검찰 전관 관리는 정영제 옵티머스운용 대체투자부문 대표(잠적)가 맡았다. C&그룹 계열사 대표였던 그는 법무부 장관을 지낸 모 인사와도 막역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3년 전 로비를 통해 공공기관인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자금을 끌어온 것도 정 대표다. 750억원에 이르는 KCA 기금을 우량 채권에 투자한다고 해놓고 성지건설 인수합병(M&A) 등에 썼다.
옵티머스 일당은 시작부터 ‘전관 효과’를 제대로 누렸다. 퇴출 위기에 놓였던 옵티머스운용은 KCA 자금 유치를 내세워 금감원의 적기시정 조치 유예를 받고 살아났다. 그 이후 증권사를 통해 공공기관 매출채권 펀드를 팔아 KCA 자금을 상환했다. ‘펀드 돌려막기’가 시작된 시점이다. KCA 펀드 사기는 초기에 서울중앙지방검찰청과 금감원에 제보됐지만 묵살당했다. 전관 로비가 작용했을 것이란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옵티머스의 핵심 자금 통로는 부동산 컨설팅업체인 트러스트올과 골든코어다. 상당수 자금은 두 회사를 거쳐 부동산으로 흘러들어간 뒤 사라졌다. 부동산 시행업체 부실채권, 지방 오피스텔, 리조트 건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다양한 개발사업에 투자됐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들이 투자한 부동산은 부실 사업장이거나 리스크가 커 일반 금융사는 거들떠보지 않는 물건이었다”며 “자금을 빼기 위해 문제 있는 사업장에만 투자한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일부는 ‘옵티머스 일당’ 계좌에 꽂혔다.
펀드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가기도 했다. 성지건설(상장폐지)과 상폐 위기에 놓인 해덕파워웨이, 스킨앤스킨 등이다.
옵티머스 일당 중 한 명인 유현권 전 골든브릿지증권 센터장(구속)은 지난해 코스닥 업체 에이아이비트 등기이사로 선임되기도 했다.
옵티머스 펀드 자금 5151억원 가운데 4000억원 넘는 자금 행방이 묘연하다. 1조6000억원대 피해를 안긴 라임 펀드와 달리 자금의 꼬리표를 찾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 얘기다. 로비 의혹만 무성할 뿐 실제 돈을 챙긴 인물이 적다는 점도 다르다. 라임 사기에선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구속)과 김영홍 메트로폴리탄 회장(잠적), 이인광 에스모 회장(잠적) 같은 조력 인물들이 있었다. 한 운용사 대표는 “라임 일당은 사태가 터진 뒤 로비 움직임이 있었지만 옵티머스는 시작부터 전관을 앞세워 작심하고 사기를 쳤다는 점이 다르다”며 “검찰과 금감원은 물론이고 자금유치, 펀드 판매, 정부 관련 투자 등 모든 게 로비와 엮여 있어 정관계 게이트로 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조진형/오형주 기자 u2@hankyung.com
김재현 옵티머스운용 대표(구속)는 이헌재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과 친구 사이인 양호 전 나라은행장과 손잡은 뒤 거침이 없었다. 그는 금감원 사람들을 만나면 “이헌재 전 부총리가 회사 고문을 맡고 계십니다”라는 인사말을 했다. 하지만 실제 이 전 부총리가 역할을 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공공기관 자금 유치나 검찰 전관 관리는 정영제 옵티머스운용 대체투자부문 대표(잠적)가 맡았다. C&그룹 계열사 대표였던 그는 법무부 장관을 지낸 모 인사와도 막역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3년 전 로비를 통해 공공기관인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자금을 끌어온 것도 정 대표다. 750억원에 이르는 KCA 기금을 우량 채권에 투자한다고 해놓고 성지건설 인수합병(M&A) 등에 썼다.
옵티머스 일당은 시작부터 ‘전관 효과’를 제대로 누렸다. 퇴출 위기에 놓였던 옵티머스운용은 KCA 자금 유치를 내세워 금감원의 적기시정 조치 유예를 받고 살아났다. 그 이후 증권사를 통해 공공기관 매출채권 펀드를 팔아 KCA 자금을 상환했다. ‘펀드 돌려막기’가 시작된 시점이다. KCA 펀드 사기는 초기에 서울중앙지방검찰청과 금감원에 제보됐지만 묵살당했다. 전관 로비가 작용했을 것이란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전관 앞세워 시작부터 사기
이때부터 마음놓고 펀드 사기를 쳤다. 증권사 고액자산가를 대상으로 연 3% 수익을 주는 공공기관 매출채권 펀드를 본격적으로 팔았다. 서류 조작도 했다. 들어오는 펀드 자금을 씨피엔에스(2052억원), 아트리파라다이스(2031억원), 라피크(402억원), 대부디케이AMC(279억원) 등에 넣었다. 경남 조직폭력배 출신으로 알려진 이동열 대표(구속) 등을 ‘바지사장’으로 앉히고 세운 부동산업체들이다. 이들 업체는 자금 횡령을 위한 통로에 불과했다. 2차, 3차 비상장사 등을 거쳐 자금은 부동산이나 상장주식에 투자됐다.옵티머스의 핵심 자금 통로는 부동산 컨설팅업체인 트러스트올과 골든코어다. 상당수 자금은 두 회사를 거쳐 부동산으로 흘러들어간 뒤 사라졌다. 부동산 시행업체 부실채권, 지방 오피스텔, 리조트 건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다양한 개발사업에 투자됐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들이 투자한 부동산은 부실 사업장이거나 리스크가 커 일반 금융사는 거들떠보지 않는 물건이었다”며 “자금을 빼기 위해 문제 있는 사업장에만 투자한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일부는 ‘옵티머스 일당’ 계좌에 꽂혔다.
펀드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가기도 했다. 성지건설(상장폐지)과 상폐 위기에 놓인 해덕파워웨이, 스킨앤스킨 등이다.
옵티머스 일당 중 한 명인 유현권 전 골든브릿지증권 센터장(구속)은 지난해 코스닥 업체 에이아이비트 등기이사로 선임되기도 했다.
의도적인 부실 부동산 투자 의혹
윤석호 이사(구속)가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펀드 하자 치유’ 문건에 나오는 곤지암 물류센터, 남동발전 바이오매스 발전소 프로젝트 등에도 자금을 집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골든코어는 곤지암 부지를 지난해 약 200억원에 인수했다. 남동발전 프로젝트에는 10억원이 투자됐다. 전관 출신 고문들이 추천했다는 이 프로젝트들은 모두 정부와 관련돼 있다. 한 로펌 변호사는 “문건은 옵티머스 사태가 터지기 직전인 올해 5월에 작성된 것”이라며 “펀드 돌려막기 규모가 커지고 사기 전모가 드러날 위기에 처하자 전방위 로비를 통해 해결책을 찾으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옵티머스 펀드 자금 5151억원 가운데 4000억원 넘는 자금 행방이 묘연하다. 1조6000억원대 피해를 안긴 라임 펀드와 달리 자금의 꼬리표를 찾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 얘기다. 로비 의혹만 무성할 뿐 실제 돈을 챙긴 인물이 적다는 점도 다르다. 라임 사기에선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구속)과 김영홍 메트로폴리탄 회장(잠적), 이인광 에스모 회장(잠적) 같은 조력 인물들이 있었다. 한 운용사 대표는 “라임 일당은 사태가 터진 뒤 로비 움직임이 있었지만 옵티머스는 시작부터 전관을 앞세워 작심하고 사기를 쳤다는 점이 다르다”며 “검찰과 금감원은 물론이고 자금유치, 펀드 판매, 정부 관련 투자 등 모든 게 로비와 엮여 있어 정관계 게이트로 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조진형/오형주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