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욱 "작전권전환 조건 조기 구비해야" vs 에스퍼 "시간 걸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미 국방장관이 전시 작전통제권의 한국 전환 문제와 관련 공개석상에서 시각차를 드러냈다.
14일(현지시간) 서욱 국방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미 국방부에서 제 52차 한미안보협의회(SCM)를 개최했다. 서욱 국방장관이 취임 후 에스퍼 장관과의 첫 대면식이었던 이 자리에선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추진이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한국은 전작권 전환 조건의 조기 구비를 강조하며 전환 의지를 드러냈다.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뒤 전환 완료 시한을 정하지 않고 '조기 전환 추진'으로 정책을 조정했지만, 군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던 임기 내인 오는 2022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서욱 장관 역시 이 자리에서 "전작권 전환의 조건을 조기에 구비해 한국군 주도의 연합방위체제를 빈틈없이 준비하는 데 함께 노력할 것"이라며 조건의 조기 구비를 통해 전작권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미국은 전환에 시간이 걸린다는 전망을 내놨다. 에스퍼 장관은 "전작권의 한국 사령관 전환을 위한 모든 조건을 완전히 충족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조건을 충분히 따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양 장관은 이후 공동성명에서 "완전운용능력(FOC) 검증을 포함한 미래연합사로의 전작권 전환의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3단계 검증 평가 중 올해 예정했다가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열리지 못한 2단계 FOC 검증을 논의했다는 뜻이지만 실기 시기 등 세부사항은 확정되지 않았다.
한국은 내년에 FOC 검증을 실시하는 쪽에 무게를 뒀지만 미국은 상황을 두고보자는 식으로 확답하지 않는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에스퍼 장관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관련해 작심한 듯 한국의 대폭 증액을 압박하기도 했다.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13% 인상안을 제시한 한국과의 시각 격차가 큰 상태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현행보다 5배 인상하라는 무리한 요구를 했다가 증액 폭을 50%로 낮췄다.
에스퍼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방위비 부담이 미국 납세자에게 불공평하게 떨어져선 안 되고, 한반도에 미군의 안정적 주둔을 보장하기 위해 빠른 합의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비공식 석상에서 주한미군 철수를 수차례 언급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같은 발언은 주한미군 주둔 문제를 방위비 협상과 연계할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특히 지난해 11월 열린 51차 SCM 공동성명에는 "에스퍼 장관은 주한미군의 현 수준을 유지하고 전투준비태세를 향상시키겠다는 공약을 재확인했다"는 문구가 있었지만 이날 공동성명에서는 주한미군 현 수준 유지 언급마저 빠졌다.
에스퍼 장관은 이날 "양국은 함께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유지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미국의 중국 견제에 한국의 동참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에스퍼 장관은 "70년간 우리 동맹은 인도·태평양 평화와 번영의 보루로 남아 있다"며 장관을 향해 "다가올 70년, 그 이상의 도전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음을 확실히 하길 기대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수혁 주미대사가 지난 12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이 70년 전에 미국을 선택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70년간 미국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언급한 것과 대조적인 발언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4일(현지시간) 서욱 국방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미 국방부에서 제 52차 한미안보협의회(SCM)를 개최했다. 서욱 국방장관이 취임 후 에스퍼 장관과의 첫 대면식이었던 이 자리에선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추진이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한국은 전작권 전환 조건의 조기 구비를 강조하며 전환 의지를 드러냈다.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뒤 전환 완료 시한을 정하지 않고 '조기 전환 추진'으로 정책을 조정했지만, 군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던 임기 내인 오는 2022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서욱 장관 역시 이 자리에서 "전작권 전환의 조건을 조기에 구비해 한국군 주도의 연합방위체제를 빈틈없이 준비하는 데 함께 노력할 것"이라며 조건의 조기 구비를 통해 전작권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미국은 전환에 시간이 걸린다는 전망을 내놨다. 에스퍼 장관은 "전작권의 한국 사령관 전환을 위한 모든 조건을 완전히 충족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조건을 충분히 따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양 장관은 이후 공동성명에서 "완전운용능력(FOC) 검증을 포함한 미래연합사로의 전작권 전환의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3단계 검증 평가 중 올해 예정했다가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열리지 못한 2단계 FOC 검증을 논의했다는 뜻이지만 실기 시기 등 세부사항은 확정되지 않았다.
한국은 내년에 FOC 검증을 실시하는 쪽에 무게를 뒀지만 미국은 상황을 두고보자는 식으로 확답하지 않는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에스퍼 장관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관련해 작심한 듯 한국의 대폭 증액을 압박하기도 했다.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13% 인상안을 제시한 한국과의 시각 격차가 큰 상태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현행보다 5배 인상하라는 무리한 요구를 했다가 증액 폭을 50%로 낮췄다.
에스퍼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방위비 부담이 미국 납세자에게 불공평하게 떨어져선 안 되고, 한반도에 미군의 안정적 주둔을 보장하기 위해 빠른 합의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비공식 석상에서 주한미군 철수를 수차례 언급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같은 발언은 주한미군 주둔 문제를 방위비 협상과 연계할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특히 지난해 11월 열린 51차 SCM 공동성명에는 "에스퍼 장관은 주한미군의 현 수준을 유지하고 전투준비태세를 향상시키겠다는 공약을 재확인했다"는 문구가 있었지만 이날 공동성명에서는 주한미군 현 수준 유지 언급마저 빠졌다.
에스퍼 장관은 이날 "양국은 함께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유지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미국의 중국 견제에 한국의 동참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에스퍼 장관은 "70년간 우리 동맹은 인도·태평양 평화와 번영의 보루로 남아 있다"며 장관을 향해 "다가올 70년, 그 이상의 도전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음을 확실히 하길 기대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수혁 주미대사가 지난 12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이 70년 전에 미국을 선택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70년간 미국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언급한 것과 대조적인 발언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