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개인 물량' 확대 추진에…"뻥튀기 공모·시초가부터 손봐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투자업계 우려 목소리
산정방식 허점·시장 평가와 괴리
올해 신규 상장한 37개 종목 중
73%가 첫날부터 시초가 밑돌아
산정방식 허점·시장 평가와 괴리
올해 신규 상장한 37개 종목 중
73%가 첫날부터 시초가 밑돌아
하반기 기업공개(IPO) 최대어로 꼽혔던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주가가 상장 후 연이틀 하락하면서 금융투자업계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1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신규 상장한 37개 종목(스팩, 이전상장, 리츠 등 제외)의 상장일 시초가 대비 평균 등락률(지난 15일 종가 기준)은 -2.64%로 집계됐다. 37개 종목 중 주가가 상장일 시초가보다 하락한 종목이 27개(73%)에 달했다. 시초가보다 상승한 종목은 10개(27%)에 불과했다.
최근엔 주가가 공모가를 밑도는 종목도 적지 않았다. 지난달 21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비비씨는 공모가가 3만700원이었지만 최근 2만원 선이 무너졌다. 같은 달 상장한 박셀바이오 원방테크 등도 주가가 공모가 밑으로 내려왔다.
증권업계에서는 지난 6월 SK바이오팜 IPO로 시작된 공모주 투자 열기가 급격히 사그라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달 들어 공모주 청약 경쟁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발행시장이 시들해지는 조짐을 보이자 IPO를 내년으로 미루겠다는 비상장기업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개인배정 물량 확대를 골자로 한 공모주 제도 개편을 추진하는 건 자칫 ‘독(毒)’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투자협회는 공모주 청약제도 개선안 마련을 놓고 막판 논의 중이다. 발행사 임직원에게 배정되는 우리사주 청약분에서 미달(실권)이 발생한 물량을 개인에게 우선 돌리고, 개인 배정물량(최소 20% 이상) 중 일부를 소액투자자에게 추첨제 방식으로 나눠주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한 증권사 투자은행(IB) 업무 담당자는 “현재 공모주 제도의 문제는 공모가와 시초가가 실제 시장의 평가(주가)와 지나치게 괴리돼 있다는 데 있다”며 “공모가 산정이 잘 되면 공모가의 두 배로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 자체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기술특례 상장기업들을 중심으로 공모가가 과대 평가됐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증권사 IPO 담당자들을 소집해 가치 평가를 꼼꼼하게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현행 시초가 산정 방식 역시 허점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상장 첫날 시초가는 공모가의 90~200% 범위에서 결정된다. 거래 개시 한 시간 전부터 시가 단일가 방식으로 호가를 접수한 뒤 체결 가능성이 가장 높은 가격(매도호가와 매수호가가 합치되는 가격)이 시초가가 된다. 이때 상장 후 차익실현을 노린 세력들이 높은 가격을 적어낸 뒤 곧바로 취소하는 식으로 시초가를 부풀릴 수 있다는 얘기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1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신규 상장한 37개 종목(스팩, 이전상장, 리츠 등 제외)의 상장일 시초가 대비 평균 등락률(지난 15일 종가 기준)은 -2.64%로 집계됐다. 37개 종목 중 주가가 상장일 시초가보다 하락한 종목이 27개(73%)에 달했다. 시초가보다 상승한 종목은 10개(27%)에 불과했다.
최근엔 주가가 공모가를 밑도는 종목도 적지 않았다. 지난달 21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비비씨는 공모가가 3만700원이었지만 최근 2만원 선이 무너졌다. 같은 달 상장한 박셀바이오 원방테크 등도 주가가 공모가 밑으로 내려왔다.
증권업계에서는 지난 6월 SK바이오팜 IPO로 시작된 공모주 투자 열기가 급격히 사그라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달 들어 공모주 청약 경쟁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발행시장이 시들해지는 조짐을 보이자 IPO를 내년으로 미루겠다는 비상장기업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개인배정 물량 확대를 골자로 한 공모주 제도 개편을 추진하는 건 자칫 ‘독(毒)’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투자협회는 공모주 청약제도 개선안 마련을 놓고 막판 논의 중이다. 발행사 임직원에게 배정되는 우리사주 청약분에서 미달(실권)이 발생한 물량을 개인에게 우선 돌리고, 개인 배정물량(최소 20% 이상) 중 일부를 소액투자자에게 추첨제 방식으로 나눠주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한 증권사 투자은행(IB) 업무 담당자는 “현재 공모주 제도의 문제는 공모가와 시초가가 실제 시장의 평가(주가)와 지나치게 괴리돼 있다는 데 있다”며 “공모가 산정이 잘 되면 공모가의 두 배로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 자체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기술특례 상장기업들을 중심으로 공모가가 과대 평가됐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증권사 IPO 담당자들을 소집해 가치 평가를 꼼꼼하게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현행 시초가 산정 방식 역시 허점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상장 첫날 시초가는 공모가의 90~200% 범위에서 결정된다. 거래 개시 한 시간 전부터 시가 단일가 방식으로 호가를 접수한 뒤 체결 가능성이 가장 높은 가격(매도호가와 매수호가가 합치되는 가격)이 시초가가 된다. 이때 상장 후 차익실현을 노린 세력들이 높은 가격을 적어낸 뒤 곧바로 취소하는 식으로 시초가를 부풀릴 수 있다는 얘기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