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진기지'를 캐나다에 세우는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토론토대·몬트리올대 석학 포진
국가차원서 稅혜택 '허브' 조성
韓, 2022년까지 인력 1만명 부족
국가차원서 稅혜택 '허브' 조성
韓, 2022년까지 인력 1만명 부족
캐나다는 ‘글로벌 인공지능(AI) 허브’로 불린다. 국가 차원에서 기업·연구소에 세제 혜택을 주며 AI 연구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AI 명문’으로 꼽히는 토론토대, 몬트리올대 등에선 요슈아 벤지오 교수(토론토대) 등 세계적인 석학들이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엔비디아 같은 정보기술(IT) 기업이 토론토 등에 AI연구소를 세운 이유다.
국내 대기업도 ‘AI 메카’로 불리는 해외 지역에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18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토론토와 몬트리올 등 해외 6개 도시에서 ‘글로벌 AI 연구센터’를 세웠다. LG 역시 토론토와 실리콘밸리에 ‘AI 연구소’, SK그룹은 지난달 실리콘밸리에 ‘가우스랩스’라는 AI 연구개발(R&D) 전문 기업을 설립했다.
기업들이 해외에 AI 전진기지를 세우고 있는 것은 ‘석학 영입’이 비교적 수월해서다. 삼성전자는 벤지오 교수와 함께 몬트리올 연구소에서 영상·음성 인식, 자율주행 등 AI 알고리즘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LG전자는 벡터연구소 창립 멤버이자 인공지능망 분야 권위자인 다린 그라함 박사에게 토론토 AI연구소장을 맡겼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석학급 외국인을 한국 본사로 데려오는 건 쉽지 않아 현지에 연구소를 세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엔 AI 인력 부족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까지 국내 AI 개발 인력은 수요보다 9986명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석·박사급 개발자는 7276명 모자란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국내 AI 박사 취득자도 약 20%는 해외로 자리를 옮기고 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기업들이 해외에 AI 전진기지를 세우고 있는 것은 ‘석학 영입’이 비교적 수월해서다. 삼성전자는 벤지오 교수와 함께 몬트리올 연구소에서 영상·음성 인식, 자율주행 등 AI 알고리즘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LG전자는 벡터연구소 창립 멤버이자 인공지능망 분야 권위자인 다린 그라함 박사에게 토론토 AI연구소장을 맡겼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석학급 외국인을 한국 본사로 데려오는 건 쉽지 않아 현지에 연구소를 세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엔 AI 인력 부족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까지 국내 AI 개발 인력은 수요보다 9986명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석·박사급 개발자는 7276명 모자란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국내 AI 박사 취득자도 약 20%는 해외로 자리를 옮기고 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