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처음으로 40만 명을 넘어섰다. 미국에선 하루 신규 환자가 7만 명을 넘으며 ‘3차 확산’이 시작됐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유럽의 확산세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4000만 명을 돌파했다.
로이터통신은 세계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40만 명 이상을 기록했다며 이는 유럽에서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평균 14만 명의 확진자가 나온 데서 비롯됐다고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럽 전역의 하루 환자 수는 세계 누적 확진자 1~3위 국가인 미국과 인도, 브라질의 하루 확진자 수를 합친 것보다 훨씬 많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지난주 유럽에서 보고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3월 첫 정점 때보다 세 배나 많았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유럽 각국에서 감염원을 확인할 수 없는 확진자가 쏟아지면서 통제 가능한 수준을 벗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프랑스 보건부는 17일 확진자가 3만2427명 추가돼 사상 최대치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는 최근 감염자가 급증하는데도 의료진 등이 부족해 감염 경로를 추적하는 보건당국의 역학조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추가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체코는 군대를 동원해 수도 프라하 북부의 대형 전시장에 임시병원을 지을 계획이다. 체코에선 최근 2주간 10만 명당 신규 확진자 및 사망자 수가 유럽연합(EU) 국가 중 가장 많을 만큼 상황이 심각해졌다. 네덜란드의 하루 신규 확진자는 8114명에 달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미국은 지난 4월 1차, 7월 2차에 이어 본격적인 3차 유행에 접어들었다. 미국은 세계에서 코로나19 감염자(834만2665명)와 사망자(22만4282명)가 가장 많은 나라다. 16일 미국의 신규 확진자는 7만1688명으로 7월 말 이후 가장 많았다. 최근 1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환자는 5만3000여 명으로 한 달 전보다 55%나 증가했다. 이 같은 확산세라면 다음달께 누적 확진자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선 코로나19 사태 초기 집중 발병 지역이던 해안가 도시들 대신 중서부의 전원 지역을 중심으로 급격히 번지고 있다. 오하이오 인디애나 뉴멕시코 네브래스카 콜로라도주 등 14곳의 1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환자는 최대치였다. 워싱턴포스트는 “이젠 미국 거의 모든 곳이 위기”라며 “44개 주와 수도 워싱턴DC에서 신규 환자가 9월 중순보다 더 많이 나오면서 코로나19 3차 유행의 파도에 직면했다”고 했다.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저가 상품 범람에 대응하기 위해 수수료 신설, 면세 혜택 폐지 등의 방책을 내놨다. 특정국을 겨냥한 조치는 아니라고 설명했지만,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테무, 쉬인 등을 정조준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5일(현지시간) EU 집행위원회는 주간 회의에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전자상거래를 위한 포괄적 툴박스’라는 제목의 통신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통신문은 EU가 추진하려는 전반적 정책구상 방향을 담은 문서다.집행위는 통신문에서 건강과 환경에 해로운 저가 상품이 넘쳐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세관 및 소비자 보호 규정 강화는 물론 디지털서비스법(DSA), 디지털시장법(DMA) 등 기존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예고했다. 세관 부문에서는 EU로 직접 수입되는 전자상거래 제품에 ‘취급 수수료’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명시했다. 세관 당국이 수십억개에 달하는 물품의 규정 준수 여부를 감독하는 데 드는 막대한 비용을 해결하기 위해서다.현재 입법 절차가 진행 중인 관세 규정 개편안 ‘관세동맹 개혁 패키지’의 신속한 채택도 필요하다고 통신문은 지적했다. 이 개편안에는 150유로 미만(약 23만원) 상당의 저가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폐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면세 혜택이 폐지되면 연간 약 10억유로의 세수를 확보할 수 있다.EU는 이번 조처가 특정국을 겨냥한 것이 아닌, 역외에서 유입되는 모든 전자상거래 물품에 적용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주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EU 집행위에 따르면 지난해 EU에 유입된 150유로 이하의 전자상거래 배송 중 91%가 중국에서 왔다. 지난해
오는 4월13일 개막하는 오사카·간사이 만국박람회(오사카 엑스포) 입장권 판매가 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판매 목표량의 절반 밖에 팔리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당일권 발매까지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6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전날 도쿄 총리 관저에서 진행된 요시무라 히로후미 오사카부 지사 등과 면담에서 "당일권을 살 수 있도록 생각해 보겠다"고 말했다. 요시무라 지사도 "예매 입장권이 팔리지 않는 상황이라면 당일권 판매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요시무라 지사는 이시바 총리에게 당일권 신설 외에 예약 홈페이지 개선, 편의점 등에서의 입장권 홍보 등을 요청했다. 그는 이시바 총리와 면담 이후 취재진에 "지금이 개막 전에 당일권을 도입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라고 강조했다.오사카 엑스포는 원칙적으로 예약자만 입장할 수 있다. 입장권 판매 목표량은 1400만장이지만 지난달 29일 기준으로 절반 수준인 약 766만장만 팔렸다. 엑스포에 대한 관심이 줄면서 일부 현지 인터넷과 금권숍(상품권, 입장권, 할인 승차권을 현금으로 사고파는 가게) 등에선 입장권이 정가 이하로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사히는 그동안 오사카 엑스포 당일권이 판매되지 않은 주된 요인으로 입지 문제가 꼽힌다고 짚었다. 오사카 엑스포는 오사카만에 있는 매립지인 유메시마에서 개최되는데, 접근성이 좋지 않아 한 번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 사고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입장권을 구매하기가 어렵다는 비판도 있다.입장권 판매 부진의 또 다른 배경에는 오사카 엑스포에 대한 일본인의 관심 부족도
그룹 클론 출신 DJ 겸 가수 구준엽이 아내 서희원(쉬시위안)의 유해와 함께 대만에 도착했다고 현지 매체들이 전했다.연합보, 자유신보 등 대만언론은 6일 "구준엽이 서희원의 모친 등 가족들과 전날 일본 하네다 공항을 출발한 소형 전세기를 타고 같은 날 오후 3시께 대만 북부 타이베이 쑹산 공항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대만언론은 비즈니스 전용기 운영사 비스타젯(VistaJet)의 전세기에서 내린 구준엽이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했음에도 그의 눈빛은 슬픔으로 가득했다고 전했다. 구준엽은 서희안의 유해가 담긴 분홍색 유골함을 품에 안고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몰려든 취재진에 "아내가 놀라지 않도록 우산으로 가려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현지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서희안의 유골함이 북부 신베이시 싼즈 지역의 한 추모공원에 안치될 예정이다.서희안의 여동생인 서희제(쉬시디)는 매니저를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언니가 평안하게 집에 돌아왔다"며 "조용하고 진중했던 언니의 성격을 존중해 고별식을 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가족 모두는 언니에 대한 여러분의 사랑에 감사드린다"고 전했다.서희원은 과거 출산 도중 혼수상태에 빠졌다 경험한 이후 지인들에게 자신의 고별식에 대해 "즐거움과 기쁨으로 가득한 분위기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샴페인과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라고 밝혀 온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절대 울지 말라"고 당부했다.서희원은 1994년 서희제와 함께 그룹 'SOS'로 데뷔했다. 소속사와 분쟁 탓에 'ASOS'로 팀명을 바꾸고 2003년까지 활동했다. 2001년 대만판 '꽃보다 남자'인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