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REUTERS
사진=REUTER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1만명을 넘어서는 등 2차 유행이 시작된 이탈리아에서는 한국식 추적 모델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터 리치아르디 이탈리아 보건부 고위 자문관은 19일(현지시간)에 발간된 현지 일간 라 레푸블리카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전했다. WHO 이사회 멤버로 활동하는 리치아르디는 1차 유행 때인 지난 3월 추적-검사-격리를 뼈대로 하는 한국 모델에 주목해 이를 도입한 인물이다.당시 그는 "이탈리아와 한국의 코로나19 그래프를 비교하면 할수록 한국의 대응 전략을 따라야 한다는 확신이 든다"고 말했다.

이후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을 모아 한국 모델을 연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고 드라이브-스루 검사 방식과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해 알려주는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등을 속속 도입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반년이 지난 지금 이탈리아는 코로나19 확산에 다시 한번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리치아르디는 한국식 모델이 이탈리아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그는 '이탈리아가 동아시아 일부 국가처럼 더 효율적이고 기술적인 추적을 할 시간이 있나'라는 기자의 질문에 "일부 지역은 확산세를 진화하기에 이미 너무 늦어버렸다"며 "이들 지역은 추적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봉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지 전문가들은 최소한 전체 국민의 60∼70%가 앱을 깔고 실행해야 그 효과를 담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부가 이를 의무가 아닌 자발적 사용 영역으로 두면서 사실상 실패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더불어 리치아르디는 이탈리아에서 바이러스가 급속히 확산한 배경으로 무분별한 모임·파티 등을 꼽았다. 이어 각 가정 내에서의 2차 감염이 진행되면서 확진자가 빠르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일부 지역은 이미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김정호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