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백 전 장관은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원전의 안정성과 주민 수용성도 경제성에 포함돼야 하는데, 감사원이 이를 분리한 이유가 의아하다"며 "감사원이 놓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백 전 장관은 특히 감사원이 자신에게 책임을 물은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감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백 전 장관이 외부기관의 경제성 평가 결과 등이 나오기도 전에 한수원 이사회의 조기폐쇄 결정과 동시에 월성 1호기를 즉시 가동 중단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고 적시했다.
백 전 장관은 "당시 실무 과장이 월성 1호기도 고리 1호기처럼 조기폐쇄 결정 이후에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며 "이에 대해 '고리 1호기는 수명을 연장하지 않았고, 월성 1호기는 수명이 남았는데도 국정과제에 따라 조기 폐쇄키로 한 것이라 근본적 차이가 있으니 더 논의한 뒤 재보고하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후 실무진들 간 세부 논의를 통해 '민주적인' 절차를 거쳐 조기폐쇄 결정과 동시에 즉시 가동 중단하기로 했다는 게 백 전 장관의 주장이다.
백 전 장관은 경제성 조작과 관련해서도 "일절 개입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삼덕회계법인이 경제성 평가를 진행할 때 법 관련 설명을 하느라 정부 관계자들이 함께 논의한 사실은 있으나 최종 보고를 받은 것 외에는 일절 개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전 한 언론에 제기한 '감사원 강압 조사'의혹에 대해서는 "법률 전문가와 상의해서 이야기할 부분"이라며 말을 아꼈다.
이에 대해 산업부 일각에서는 "백 전 장관이 실무진에게 책임을 떠넘기려 한다"는 토로가 나왔다. 한 산업부 관계자는 "백 전 장관 주장은 월성 1호기 조기폐쇄 및 즉시 가동 정지가 실무진들의 민주적인 논의를 거쳐 이뤄졌다는 것인데, 실무진은 그렇게 큰 사안을 결정할 권한도 없다"며 "월성 1호기 조기폐쇄 결정의 가장 큰 책임을 지게 되자 당시 부하 직원들에게 책임을 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백 전 장관은 실질적으로 아무런 징계도 받지 않았고 담당 국장과 서기관만 징계를 받게 됐다"며 "정책 책임자를 놔두고 명령을 충실히 수행한 이들에게만 불이익을 주는 건 꼬리자르기"라고 강조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