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부동산 수익 일반 국민과 공유하는 순기능...제도적 지원 늘려야"
조만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사진 왼쪽 세번째)는 22일 금융투자협회와 한국리츠협회가 마련한 '2020년 하반기 공모상장리츠 투자자를 위한 콘퍼런스'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는 국내 부동산·금융 분야 전문가들을 한 자리에 모아 리츠 상장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NH농협리츠운용, 신한리츠운용, 코람코자산신탁 등 리츠 운용사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조 교수는 "리츠 상장 활성화는 저소득자, 은퇴자 등이 안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특히 대형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일반 국민과 공유하는 리츠의 역할과 순기능을 강조했다. 조 교수는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리츠의 목적 자체가 대형 부동산 물건에서 창출되는 수익을 소액투자자들과 공유하기 위한 장치를 만들자는 것”이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정책목표로 도입됐다”고 부연했다.
리츠는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매입, 개발 등을 통해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주식회사 형태의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이다. 주식에 비해 안정적인 배당 소득이 가능하고 시중 금리보다 수익률이 높아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는 이미 인기 있는 대체 투자처로 자리잡았다. 한국감정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리츠의 평균 배당 수익률은 9.47%였다.
조 교수는 여러가지 순기능에도 국내 상장 리츠 시장이 아직 걸음마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리츠협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상장된 12개 공모 리츠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하면 약 3조9000억원가량으로, 국내 리츠 전체 자산규모(56조원)에 비해 턱없이 적은 상황이다. 국내 증시의 전체 시가총액(약 1800조원)에 비하면 0.2% 수준이다.
조 교수는 국내에서 리츠 상장이 활성화하지 못하는 이유로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까다로운 인허가 절차를 꼽았다. 그는 "세제 혜택과 같은 유인도 부족해 리츠 운용사들이 선뜻 상장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싱가포르와 같이 이미 상장 리츠가 활성화돼 있는 나라의 제도를 참고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싱가포르에서는 리츠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를 면제해 주고 개인이 현금자동입출금기(ATM)을 통해 리츠 주식을 매매할 수 있을 정도로 투자 접근성이 높다.
그는 국내 리츠 운용업계를 대상으로 자산 구성의 다양화를 주문하기도 했다. 리츠의 근간이 되는 부동산 자산이 다양해질수록 투자 수익률이 증대할 가능성이 크다. 국내 리츠는 주택과 오피스, 상가에 대한 투자가 94%를 차지할 정도로 투자 다양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반면 미국에서는 주택과 오피스뿐 아니라 데이터센터, 사회간접자본(SOC), 병원 등에 대한 투자도 많다.
국내 리츠 업계에서는 올해를 '상장 리츠 활성화의 원년'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그동안 국내 리츠시장은 비상장 사모 중심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해 9월 공모 리츠 활성화 대책을 내놓으면서 상황이 달라질 전망이다. 대책에는 역세권, 복합환승센터 등을 조성할 때 상장 리츠와 부동산펀드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사업자에게 우선권을 주는 방안이 포함됐다. 상장 리츠와 부동산펀드에 투자한 뒤 얻은 배당소득에 분리과세 혜택을 주고 세율도 종전의 연 14%에서 연 9%로 낮춰주기로 했다.
정연일 기자 ne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