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세계 富의 중심, 10년 뒤엔 아프리카·인도로 대이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30 축의 전환
마우로 기옌 지음 / 우진하 옮김
리더스북 / 412쪽│1만8000원
'세계 석학' 마우로 기옌 교수 대전망
마우로 기옌 지음 / 우진하 옮김
리더스북 / 412쪽│1만8000원
'세계 석학' 마우로 기옌 교수 대전망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은 단순히 사람들을 감염과 죽음의 공포로만 몰아넣지 않는다. 오히려 이전까지 유행했던 감염병과 달리 기존에 진행되던 흐름들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기술 진보가 대표적인 예다. 이 새로운 기술은 코로나19를 계기로 더욱 신속하게 도입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는 시간이 갈수록 더 가파르게 이뤄지며 여성의 사회적 역할 역시 이전 시대보다 더욱 빠르게 커지고 있다.
글로벌 트렌드 및 국제 경영 전략 분야 세계적 석학으로 알려진 마우로 기옌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경영전문대학원(와튼스쿨) 교수는 “인구, 사회, 경제, 기술 영역의 주요 메가트렌드가 모두 2030년을 기점으로 세계적 임계점을 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그가 쓴 저서 《2030 축의 전환》은 현재 세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 양상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가고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국가 간, 세대 간, 계층 간, 기술 간 연결고리를 날카롭게 파고들며 다가올 대전환기를 통찰하게 해준다.
저자가 주장하는 2030년까지의 변화 양상은 크게 다섯 가지다. 먼저 세계 경제의 중심이 미국과 유럽으로 점철됐던 대서양에서 아프리카와 인도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현재 선진국에서 신생아 1명이 태어날 때 중국, 인도, 아프리카 같은 신흥국에선 9명이 태어난다. 지금 추세라면 2030년엔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 지역의 인구가 가장 많고 그 뒤를 아프리카와 동아시아가 잇는다. 특히 아프리카에선 농업과 산업의 이중 혁명이 일어나 2030년까지 경제 규모가 1조달러에 이르는 등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세계은행은 전망했다. 중국과 인도, 아프리카가 소비자, 생산자, 투자자로서 시장의 새로운 기준으로 발돋움하게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60세 이상 실버세대의 부상이다. 노년층은 밀레니얼세대보다 앞선 신기술 수용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저자는 예견한다. 기계 외골격을 장착한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젊은이들과 함께 마음껏 출근하고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해 유명 관광지를 여행한다. 무엇보다 현재 세계 자산의 절반 이상, 미국 자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연령층이 60세 이상이라는 점에서 이런 예측은 현실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저자는 전망한다.
여성 역시 세상을 좌우하는 존재로 거듭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재산과 권력을 남성이 소유하고 관리하던 시대는 막을 내리고 더 많은 여성이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른다. 여성 노동력을 적극 활용하는 국가들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여성이 부유해지고 그들의 투자와 소비 성향에 따라 자산시장 역시 재편될 수 있다는 게 저자 생각이다. 그는 “여성의 기호와 선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기업과 정치인은 설 자리를 잃는다”고 강조한다.
나노 기술과 3차원(3D) 인쇄술은 세계 60%가 거주하는 도시 지역에 생태적 위기를 해결할 방법을 제공한다고 저자는 역설한다. 종이책 대신 전자책이 화려하게 부활해 아프리카의 늘어나는 인구를 교육하는 데 활용되고 인터넷을 통한 협력적 소비와 자산 공유는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는 “우리를 둘러싼 수십억 개의 컴퓨터와 감지장치, 로봇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은 빈곤과 질병, 환경파괴, 기후변화, 사회적 고립 등을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을 안겨준다”며 “무엇보다 선견지명을 갖춘 젊은 기업가들을 통해 일자리까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가 미래를 더욱 앞당길 것이라고 예측한다. 사람들은 불황 속에서 출산을 더욱 미룬다. 이는 미래 노동력의 절대적 숫자가 감소한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기업과 공장은 생산공정의 자동화와 지능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격리생활은 디지털환경과 첨단기술에 발 빠르게 적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각종 간담회, 모임과 회의, 강연 등이 모두 화상으로 생활처럼 이어지고 있는 것도 그런 모습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저자는 “2030년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먼 미래가 아니다”며 “그렇기 때문에 코앞의 미래에 다가올 기회와 도전에 대해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이와 더불어 미래를 준비하는 우리가 소득 수준, 성별, 교육 수준 등에 따라 정의되는 단편적이고 도식적인 틀에서 벗어나 얽히고설킨 관계들을 폭넓게 이해하려고 노력하라고 주문한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글로벌 트렌드 및 국제 경영 전략 분야 세계적 석학으로 알려진 마우로 기옌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경영전문대학원(와튼스쿨) 교수는 “인구, 사회, 경제, 기술 영역의 주요 메가트렌드가 모두 2030년을 기점으로 세계적 임계점을 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그가 쓴 저서 《2030 축의 전환》은 현재 세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 양상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가고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국가 간, 세대 간, 계층 간, 기술 간 연결고리를 날카롭게 파고들며 다가올 대전환기를 통찰하게 해준다.
저자가 주장하는 2030년까지의 변화 양상은 크게 다섯 가지다. 먼저 세계 경제의 중심이 미국과 유럽으로 점철됐던 대서양에서 아프리카와 인도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현재 선진국에서 신생아 1명이 태어날 때 중국, 인도, 아프리카 같은 신흥국에선 9명이 태어난다. 지금 추세라면 2030년엔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 지역의 인구가 가장 많고 그 뒤를 아프리카와 동아시아가 잇는다. 특히 아프리카에선 농업과 산업의 이중 혁명이 일어나 2030년까지 경제 규모가 1조달러에 이르는 등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세계은행은 전망했다. 중국과 인도, 아프리카가 소비자, 생산자, 투자자로서 시장의 새로운 기준으로 발돋움하게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60세 이상 실버세대의 부상이다. 노년층은 밀레니얼세대보다 앞선 신기술 수용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저자는 예견한다. 기계 외골격을 장착한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젊은이들과 함께 마음껏 출근하고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해 유명 관광지를 여행한다. 무엇보다 현재 세계 자산의 절반 이상, 미국 자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연령층이 60세 이상이라는 점에서 이런 예측은 현실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저자는 전망한다.
여성 역시 세상을 좌우하는 존재로 거듭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재산과 권력을 남성이 소유하고 관리하던 시대는 막을 내리고 더 많은 여성이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른다. 여성 노동력을 적극 활용하는 국가들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여성이 부유해지고 그들의 투자와 소비 성향에 따라 자산시장 역시 재편될 수 있다는 게 저자 생각이다. 그는 “여성의 기호와 선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기업과 정치인은 설 자리를 잃는다”고 강조한다.
나노 기술과 3차원(3D) 인쇄술은 세계 60%가 거주하는 도시 지역에 생태적 위기를 해결할 방법을 제공한다고 저자는 역설한다. 종이책 대신 전자책이 화려하게 부활해 아프리카의 늘어나는 인구를 교육하는 데 활용되고 인터넷을 통한 협력적 소비와 자산 공유는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는 “우리를 둘러싼 수십억 개의 컴퓨터와 감지장치, 로봇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은 빈곤과 질병, 환경파괴, 기후변화, 사회적 고립 등을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을 안겨준다”며 “무엇보다 선견지명을 갖춘 젊은 기업가들을 통해 일자리까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가 미래를 더욱 앞당길 것이라고 예측한다. 사람들은 불황 속에서 출산을 더욱 미룬다. 이는 미래 노동력의 절대적 숫자가 감소한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기업과 공장은 생산공정의 자동화와 지능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격리생활은 디지털환경과 첨단기술에 발 빠르게 적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각종 간담회, 모임과 회의, 강연 등이 모두 화상으로 생활처럼 이어지고 있는 것도 그런 모습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저자는 “2030년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먼 미래가 아니다”며 “그렇기 때문에 코앞의 미래에 다가올 기회와 도전에 대해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이와 더불어 미래를 준비하는 우리가 소득 수준, 성별, 교육 수준 등에 따라 정의되는 단편적이고 도식적인 틀에서 벗어나 얽히고설킨 관계들을 폭넓게 이해하려고 노력하라고 주문한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