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석탄화 효과'…일본 국민연금 보유주식 187조원 오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21세기말까지 기온상승 1.5도로 억제하면 시총 43% 증가
자동차· EV·에너지·화학 등 日기업 기술특허가 ESG시대 무기
GPIF "日자동차주도 잠재가치 유지할 수 있을 것"
21세기말까지 기온상승 1.5도로 억제하면 시총 43% 증가
자동차· EV·에너지·화학 등 日기업 기술특허가 ESG시대 무기
GPIF "日자동차주도 잠재가치 유지할 수 있을 것"
21세기말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0으로 줄이자는 파리협정이 지켜지면 일본의 국민연금 격인 일본공적연금(GPIF)이 보유한 일본 주식의 시가총액이 17조2143억엔(약 186조6202억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자동차와 전기차(EV) 등 일본 기업들이 보유한 막대한 기술특허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시대의 무기가 된다는 분석이다.
GPIF는 미국 지수서비스 회사인 MSCI가 개발한 평가기법으로 일본 투자대상 기업이 보유한 특허 데이터, 환경규제 대응에 필요한 비용, 기후변동에 따른 재해발행 위험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 파리협정이 이행되면 보유하고 있는 일본 주식의 가치가 43%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6월말 기준 GPIF는 일본 주식 40조333억엔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보유주식 가치가 43% 늘어나면 17조2143억엔의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파리협정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산업혁명을 기준으로 지구의 기온 상승을 이번 세기말까지 1.5도 이내로 제한한다'는 국제적인 약속이다. 이를 위해서는 2050년까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어야 한다. 유럽연합(EU)은 이미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50년까지 0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일본도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오는 26일 임시국회 연설에서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어 ‘탈석탄 사회’를 이룬다는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온상승을 2도 이내로 억제하면 GPIF의 일본 주식가치는 11%(4조4037억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도 이하로 느슨해지면 보유주식 가치가 8%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탈석탄 시대에 일본 기업의 가치가 오르는 것은 저탄소 기술과 관련한 특허를 많이 보유한 덕분으로 분석된다. 전세계적으로 배출가스 규제와 전기차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록 관련 특허에서 나오는 수익이 ESG에 대응하는 비용을 넘어설 정도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일본 기업들은 특히 자동차, 에너지, EV, 화학 등의 부문에서 저탄소 기술 특허를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GPIF는 탈석탄화로 위기를 맞고 있는 일본 자동차 주식도 잠재적인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내연기관의 연소효율 개선 등 전통적인 자동차 특허의 수익력이 떨어지더라도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연료전지 등 EV 특허를 통해 수익력을 만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오무라 겐지 GPIF 투자전략부 차장은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일본 기업은 EV 특허에서도 존재감이 커서 앞으로 가치창출의 원천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인 기업일수록 기업가치가 더 높아지는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확인된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세계 2000여 개 기업의 2015~2018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와 시가총액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인 상위 30개사의 시가총액(13일 기준)이 2017년 말보다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위 30개사의 시가총액은 12% 감소했다. 세계 기관투자가들이 ESG 투자 원칙을 강화하면서 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시가총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시대가 온 것이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GPIF는 미국 지수서비스 회사인 MSCI가 개발한 평가기법으로 일본 투자대상 기업이 보유한 특허 데이터, 환경규제 대응에 필요한 비용, 기후변동에 따른 재해발행 위험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 파리협정이 이행되면 보유하고 있는 일본 주식의 가치가 43%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6월말 기준 GPIF는 일본 주식 40조333억엔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보유주식 가치가 43% 늘어나면 17조2143억엔의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파리협정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산업혁명을 기준으로 지구의 기온 상승을 이번 세기말까지 1.5도 이내로 제한한다'는 국제적인 약속이다. 이를 위해서는 2050년까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어야 한다. 유럽연합(EU)은 이미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50년까지 0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일본도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오는 26일 임시국회 연설에서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어 ‘탈석탄 사회’를 이룬다는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온상승을 2도 이내로 억제하면 GPIF의 일본 주식가치는 11%(4조4037억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도 이하로 느슨해지면 보유주식 가치가 8%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탈석탄 시대에 일본 기업의 가치가 오르는 것은 저탄소 기술과 관련한 특허를 많이 보유한 덕분으로 분석된다. 전세계적으로 배출가스 규제와 전기차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록 관련 특허에서 나오는 수익이 ESG에 대응하는 비용을 넘어설 정도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일본 기업들은 특히 자동차, 에너지, EV, 화학 등의 부문에서 저탄소 기술 특허를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GPIF는 탈석탄화로 위기를 맞고 있는 일본 자동차 주식도 잠재적인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내연기관의 연소효율 개선 등 전통적인 자동차 특허의 수익력이 떨어지더라도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연료전지 등 EV 특허를 통해 수익력을 만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오무라 겐지 GPIF 투자전략부 차장은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일본 기업은 EV 특허에서도 존재감이 커서 앞으로 가치창출의 원천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인 기업일수록 기업가치가 더 높아지는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확인된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세계 2000여 개 기업의 2015~2018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와 시가총액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인 상위 30개사의 시가총액(13일 기준)이 2017년 말보다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위 30개사의 시가총액은 12% 감소했다. 세계 기관투자가들이 ESG 투자 원칙을 강화하면서 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시가총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시대가 온 것이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