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스타그램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TV 드라마에 등장하는 주택들이 화제가 됐다.

게시물 속 주택들은 대부분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서민 주택으로 주로 나오는 한옥이었다.

인스타그램에 드라마속 주택 관련 게시글을 올린 누리꾼은 "요새 서울에 이런 집 얼마나 하려나.

전셋값이 날로 오르기 때문에 이제 드라마에 (저런 주택은) 서민 집으로 나오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 주택 가격 상승 여파로 매매가가 10억원 전후로 뛴 한옥이 서민을 대변하는 주택으로 드라마에 등장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주장이다.

게시글에는 "서민 집이라고 불리는 세트장을 이제는 리뉴얼해야 할 때", "서민 집이라고 하기엔 부지가 너무 넓다" 등 동의하는 댓글이 다수 달렸다.
"10억원대 한옥이 서민주택?"…비현실적 드라마에 시청자 '눈살'
◇ "현실에선 서민이 한옥 사기 힘든데…공감 대신 괴리감 느껴"

이처럼 SNS에서 드라마나 영화, 예능 프로그램이 부동산을 묘사하는 방식에 대해 공감하기 힘들다는 비판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 18일 한 트위터 이용자는 TV 예능인 '나 혼자 산다'를 언급하며 "요즘 현실과 다른 점이 많은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는 "원룸이나 투룸을 전전하는 것이 요즘 (싱글의) 현실인데, 몇억원 대 집을 소개하거나 돈 많고 여유 있는 연예인의 삶을 보여줘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고 적었다.

지난달 종영된 MBC 파일럿 예능프로그램 '돈벌래'는 각종 부동산 정보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방송됐지만 오히려 시청자들에게 투기를 조장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대중이 이런 괴리감을 느끼는 데에는 새 임대차법 등 각종 주거 안정 정책에도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전세 품귀 현상이 심화한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감정원 '서울 아파트 평형별 평균 매매시세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민층이 많이 찾는 전용면적 40~62.8㎡의 중소형 시세가 2017년 5월 이후 3년 새 65.9% 급등해 중형, 중대형, 대형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 "대중 콘텐츠 부동산 묘사, 시청자 공감 얻어야"

전문가들은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대중매체의 주택 묘사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 시청자들 화를 돋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전셋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대중들 사이에서 부동산 공포가 현실화한 지 오래"라며 "흔히 드라마에서 서민 집으로 묘사됐던 마당 딸린 주택마저 사기 힘든 시대가 됐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공감을 얻기 위해 TV 프로그램을 본 시청자들이 현실과 동떨어진 부동산 묘사에 실망감만 느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대중문화 콘텐츠서 굳어진 집 묘사 클리셰(상투적 표현)가 부동산 급등 추세에 맞춰 변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재벌 집은 한강이 보이는 고급 아파트로, 서민 집은 낡은 아파트나 허름한 단독 주택으로 표현되던 관습이 사라질 수 있다는 예측이다.

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는 "드라마 '청춘기록' 주인공이 직업적 성공을 이루자 자신이 살던 낡은 아파트를 '내 돈으로 사겠다'는 장면이 나온다"며 "앞으로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서민을 표현할 때 주인공이 사는 집이 '자가인가, 아닌가'라는 대사 등으로 새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됐다는 걸 입증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히 연예인 집을 비추면서 현실성 없는 방송 제작에만 몰두하고, 그간 굳어져 온 서민과 재벌 집 클리셰를 남용하기만 한다면 시청자들의 깊은 공감을 얻기 힘들 수 있다"며 "콘텐츠 제작자들은 자발적인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통해 시대에 부합하는 부동산 묘사가 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