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2035년 '내연기관車 퇴출'…글로벌 친환경차 주도권 잡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에너지차 기술 로드맵 발표
강도 높은 탄소배출 감축 추진
전기·수소차 年 2000만대 보급
신소재 발굴 '반값 배터리' 생산
세계 친환경 정책 리더 노려
강도 높은 탄소배출 감축 추진
전기·수소차 年 2000만대 보급
신소재 발굴 '반값 배터리' 생산
세계 친환경 정책 리더 노려
중국이 2035년 순수 내연기관 자동차의 생산을 중단하고 친환경차만 팔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영국 등 일부 선진국(지역)만 계획하고 있는 강도 높은 친환경 정책이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라는 점을 무기로 친환경차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로드맵은 자동차산업의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8년 정점을 찍은 뒤 차츰 줄어들어 2035년에는 최대치의 80% 수준으로 내려가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연간 전체 신차 판매량 가운데 전기차, 수소연료전기차 등 신(新)에너지차(중국 기준 친환경차) 비중을 현재의 5%에서 2025년 20%, 2030년 40%, 2035년 50% 이상으로 늘려가기로 했다. 중국 정부가 2035년 연간 신차 판매량을 4000만 대로 예상하는 것에 비춰보면 한 해 신에너지차 2000만 대 이상을 판매하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또 기존 가솔린·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 중에선 엔진과 전기모터의 힘을 모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차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기로 했다. 내연기관차에서 하이브리드차가 차지하는 비중을 2025년 50%, 2030년 75%, 2035년 100%로 끌어올려 2035년에는 순수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신에너지차까지 합한 전체 신차 판매 중 순수 내연기관차 비중은 현재 95%지만 2025년엔 40%, 2030년 15%, 2035년에는 0%로 줄어들게 된다.
중국은 그동안 한국과 달리 하이브리드차를 신에너지차로 분류하지 않고 내연기관차로 구분해왔다. 하이브리드차의 원조인 일본 기술에 종속되기보다는 전기차와 수소차 등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었다. 이번에 하이브리드차 판매를 늘리는 청사진을 내놓음에 따라 일본 도요타와 혼다, 한국의 현대·기아자동차 등 하이브리드차 기술에 강점을 지닌 완성차 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소비자가 신에너지차를 살 때 보조금을 주는 한편 완성차 업체에는 신에너지차를 생산하면 가산점을, 내연기관차에는 벌점을 매겨 매년 부담금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신에너지차 활성화를 추진해왔다. 앞으로 하이브리드차도 가산점을 받게 된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도 나왔다. 학회는 현재 ㎾h당 1050위안(약 17만원)인 전기차용 배터리 가격을 2035년 절반 이하인 500위안으로 떨어뜨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신소재 발굴, 핵심 부품 국산화 등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선진국 가운데 노르웨이가 2025년, 영국이 2035년, 프랑스가 2040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한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엔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2035년까지 주 내에서 모든 가솔린·디젤 차량 판매를 금지할 것을 규정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내연기관차 중심의 완성차 업체들은 친환경차 비중을 높인다는 목표에는 동의하면서도 일정이 너무 촉박하다는 입장이다.
중국의 공격적인 친환경차 로드맵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지난달 유엔총회 화상 연설에서 2060년 전까지 실질적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한 이후 나왔다.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이 ‘탄소 배출 제로’를 약속한 것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중국은 29일 끝나는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19기 5중 전회)에서 탄소 배출 저감 등의 정책 방향을 제시해 세계 환경 수호자임을 선언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신차 절반 전기·수소차로
28일 중국 자동차산업을 총괄하는 공업정보화부에 따르면 중국자동차공학회는 전날 ‘에너지 절감 및 신에너지차 기술 로드맵 2.0’을 발표했다. 이번 로드맵은 공업정보화부의 지도에 따라 학회가 연구한 결과를 종합한 것이어서 사실상 정부 차원의 중장기 친환경차 정책으로 받아들여진다.로드맵은 자동차산업의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8년 정점을 찍은 뒤 차츰 줄어들어 2035년에는 최대치의 80% 수준으로 내려가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연간 전체 신차 판매량 가운데 전기차, 수소연료전기차 등 신(新)에너지차(중국 기준 친환경차) 비중을 현재의 5%에서 2025년 20%, 2030년 40%, 2035년 50% 이상으로 늘려가기로 했다. 중국 정부가 2035년 연간 신차 판매량을 4000만 대로 예상하는 것에 비춰보면 한 해 신에너지차 2000만 대 이상을 판매하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또 기존 가솔린·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 중에선 엔진과 전기모터의 힘을 모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차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기로 했다. 내연기관차에서 하이브리드차가 차지하는 비중을 2025년 50%, 2030년 75%, 2035년 100%로 끌어올려 2035년에는 순수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신에너지차까지 합한 전체 신차 판매 중 순수 내연기관차 비중은 현재 95%지만 2025년엔 40%, 2030년 15%, 2035년에는 0%로 줄어들게 된다.
중국은 그동안 한국과 달리 하이브리드차를 신에너지차로 분류하지 않고 내연기관차로 구분해왔다. 하이브리드차의 원조인 일본 기술에 종속되기보다는 전기차와 수소차 등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었다. 이번에 하이브리드차 판매를 늘리는 청사진을 내놓음에 따라 일본 도요타와 혼다, 한국의 현대·기아자동차 등 하이브리드차 기술에 강점을 지닌 완성차 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소비자가 신에너지차를 살 때 보조금을 주는 한편 완성차 업체에는 신에너지차를 생산하면 가산점을, 내연기관차에는 벌점을 매겨 매년 부담금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신에너지차 활성화를 추진해왔다. 앞으로 하이브리드차도 가산점을 받게 된다.
친환경차 인프라도 확대
로드맵에는 또 수소차 보급량을 100만 대로 늘리겠다는 내용도 담겼다. 중국은 베이징, 상하이, 톈진 등 지방정부들이 경쟁적으로 수소충전소를 설치하고 관련 기업을 육성하면서 수소차 주도권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전기차 배터리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도 나왔다. 학회는 현재 ㎾h당 1050위안(약 17만원)인 전기차용 배터리 가격을 2035년 절반 이하인 500위안으로 떨어뜨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신소재 발굴, 핵심 부품 국산화 등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선진국 가운데 노르웨이가 2025년, 영국이 2035년, 프랑스가 2040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한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엔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2035년까지 주 내에서 모든 가솔린·디젤 차량 판매를 금지할 것을 규정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내연기관차 중심의 완성차 업체들은 친환경차 비중을 높인다는 목표에는 동의하면서도 일정이 너무 촉박하다는 입장이다.
중국의 공격적인 친환경차 로드맵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지난달 유엔총회 화상 연설에서 2060년 전까지 실질적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한 이후 나왔다.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이 ‘탄소 배출 제로’를 약속한 것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중국은 29일 끝나는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19기 5중 전회)에서 탄소 배출 저감 등의 정책 방향을 제시해 세계 환경 수호자임을 선언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