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환율 개입마저 중단…"위안화 강세 더 갈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8년 도입한 '경기대응요소' 폐지
기준환율 결정 시장에 맡겨
기준환율 결정 시장에 맡겨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매일 기준환율을 결정할 때 '쏠림 현상'을 줄이기 위해 활용해 온 '경기대응요소' 적용을 중단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18년 8월 경기대응요소를 재도입한 지 2년여 만이다. 업계에선 중국의 환율 개입 중단에 따라 최근 지속되고 있는 위안화 강세가 가속화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위안화 환율은 수개월 간 외국인 자금의 중국 금융시장으로의 유입 확대와 중국 경제의 선제적 회복에 힘입어 강세를 보여 왔다. 상하이외환시장(역내시장)에서 위안화 가치는 5월말 이후 6% 넘게 상승(환율 하락)했다. 다만 지난 28일까지 최근 3일 동안은 그동안의 가파른 상승세에 대한 반작용으로 위안화 가치가 절하(환율 상승)됐다.
인민은행은 역내·역외(홍콩 등)시장 환율과 주요국 통화 가치의 묶음인 통화바스켓, 그리고 14개 시중은행으로부터 제출받는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경기대응요소 등을 종합해 매일 외환시장이 열기 전 기준환율을 고시한다. 역외시장 환율은 기준환율의 상하 2%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인민은행은 2017년 5월 경기대응요소를 처음 도입했다. 2018년 1월 폐지했다가 2018년 8월 재도입했다. 일각에선 경기대응요소가 중국 당국이 수출을 늘리기 위해 위안화 약세를 유도하는 수단이라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로 두 차례의 경기대응요소 도입은 모두 급격한 위안화 가치 하락(환율 상승)을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다. 2015년말부터 2016년까지 위안화 절하(환율 하락)가 지속되자 외국인 자금이 급속히 빠져나갔고 이것이 주식시장 붕괴로 이어지자 인민은행은 결국 2017년 경기대응요소를 도입했다. 이후 환율이 안정되면서 폐지했으나, 2018년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시작되자 또 경기대응요소를 부활시킨 것이다.
중국은 미국과의 갈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 성장의 중심축을 수출에서 내수로 이동시키고 있다. 내수 진작을 위해 소비를 확대하려면 수입이 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위안화 강세가 유리하다. 또 금융시장 개방을 확대하면서 외국인 자금을 늘린다는 전략을 위해서도 위안화 강세가 당분간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경기대응요소가 위안화의 가파른 절하(환율 상승)를 방어하기 위한 도구였기 때문에 위안화 강세가 지속되는 현 시점이 경기대응요소를 폐지하고 환율 결정을 시장에 맞길 수 있는 적절한 시기라고 평가했다. 쿤 고 호주뉴질랜드은행 아시아 리서치 대표는 "경기대응요소를 폐지한 것은 이 수단의 필요성이 없어졌기 때문이지 위안화 강세를 저지하려는 조치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고 대표는 "중국 경제 상황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낫고, 주요국들과 비교할 때 금리도 높기 때문에 외국인 자금이 중국에 계속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위안화 강세가 이어질 것이란 진단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위안화 환율은 수개월 간 외국인 자금의 중국 금융시장으로의 유입 확대와 중국 경제의 선제적 회복에 힘입어 강세를 보여 왔다. 상하이외환시장(역내시장)에서 위안화 가치는 5월말 이후 6% 넘게 상승(환율 하락)했다. 다만 지난 28일까지 최근 3일 동안은 그동안의 가파른 상승세에 대한 반작용으로 위안화 가치가 절하(환율 상승)됐다.
인민은행은 역내·역외(홍콩 등)시장 환율과 주요국 통화 가치의 묶음인 통화바스켓, 그리고 14개 시중은행으로부터 제출받는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경기대응요소 등을 종합해 매일 외환시장이 열기 전 기준환율을 고시한다. 역외시장 환율은 기준환율의 상하 2%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인민은행은 2017년 5월 경기대응요소를 처음 도입했다. 2018년 1월 폐지했다가 2018년 8월 재도입했다. 일각에선 경기대응요소가 중국 당국이 수출을 늘리기 위해 위안화 약세를 유도하는 수단이라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로 두 차례의 경기대응요소 도입은 모두 급격한 위안화 가치 하락(환율 상승)을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다. 2015년말부터 2016년까지 위안화 절하(환율 하락)가 지속되자 외국인 자금이 급속히 빠져나갔고 이것이 주식시장 붕괴로 이어지자 인민은행은 결국 2017년 경기대응요소를 도입했다. 이후 환율이 안정되면서 폐지했으나, 2018년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시작되자 또 경기대응요소를 부활시킨 것이다.
중국은 미국과의 갈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 성장의 중심축을 수출에서 내수로 이동시키고 있다. 내수 진작을 위해 소비를 확대하려면 수입이 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위안화 강세가 유리하다. 또 금융시장 개방을 확대하면서 외국인 자금을 늘린다는 전략을 위해서도 위안화 강세가 당분간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경기대응요소가 위안화의 가파른 절하(환율 상승)를 방어하기 위한 도구였기 때문에 위안화 강세가 지속되는 현 시점이 경기대응요소를 폐지하고 환율 결정을 시장에 맞길 수 있는 적절한 시기라고 평가했다. 쿤 고 호주뉴질랜드은행 아시아 리서치 대표는 "경기대응요소를 폐지한 것은 이 수단의 필요성이 없어졌기 때문이지 위안화 강세를 저지하려는 조치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고 대표는 "중국 경제 상황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낫고, 주요국들과 비교할 때 금리도 높기 때문에 외국인 자금이 중국에 계속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위안화 강세가 이어질 것이란 진단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