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여론조사 천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론조사 기관에서는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와 정당 지지도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주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또 갖가지 사소한 사회적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여론조사가 빠지지 않는다. 가히 ‘여론조사 전성시대’를 살고 있다고 할 만하다.

문제는 여론조사의 정확성과 신뢰도에 대한 의문이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조사 결과를 과연 믿을 수 있는가 하는 점과 그것이 과연 진정한 여론을 반영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끊이질 않는다. 이런 이유들로 ‘여론조사 무용론’을 넘어 ‘여론조사 망국론’까지 등장하는 실정이 됐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여론조사는 여론을 형성하고 주도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되지만, 조사 의뢰기관이나 특정 세력에 악용돼 의도된 설문에 의해 여론이 왜곡될 가능성도 크다. 낮은 응답률에 따른 대표성 문제나 흥미 중심 또는 불필요한 조사가 무차별적으로 진행돼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전체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표본 자체의 신뢰성과 대표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이냐가 관건이다. 실제 조사기관이 어디냐에 따라 결과가 엄청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선거 관련 사전 여론조사는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과거 한 여론조사기관은 문제점이 지적돼 수차례 과징금까지 부과받은 사례도 있다.

여론조사 결과의 신뢰성은 수없이 비판의 대상이 돼 왔다. 조사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결과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법과 제도적 정비가 시급하다. 국민도 여론조사를 절대시하거나 맹신해선 안 될 것이며, 조사 결과를 떠나 현실을 냉철하게 직시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해 보인다. 누구나 여론조사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조속히 마련되길 바란다.

김은경 < 서울 동대문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