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법 시행 3개월…서울 아파트 전셋값 7.5% '껑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로운 임대차법이 시행된 이후 최근 3개월 동안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3750만원 이상 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년 동안 평균 전셋값이 7500만원 오른 것을 감안하면 최근 3개월간 상승분은 직전 1년9개월 동안 오른 가격과 비슷하다. 새 임대차 법이 전셋값을 빠르게 끌어 올리는 것이다.
최근 3개월 간 상승률이 2년 상승률의 절반에 가까운 데, 이는 직전 1년 9개월 동안 오른 것과 맞먹는다. 이 추세대로라면 6개월 뒤에는 지난 2년 동안 올랐던 것을 따라잡을 예정이다.
새 임대차법이 시행돼 8~10월 전세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전셋값이 크게 오른 것이 통계에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지난 7월 시행된 새 임대차법은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 도입이 골자다.
서울만 놓고 보면 아파트 전셋값은 3개월 사이 ㎡당 평균 44만2000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3.3㎡(1평)당 평균 145만9000원 오른 것이다.
전용 86.8㎡ 아파트를 기준으로 보면 금천구가 3개월 사이 전셋값이 11.0%(3640만원) 올라 서울에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어 성동구 10.9%, 은평구 10.3%, 강동구 10.2%로 10% 넘게 상승했다. 강북구 9.5%, 광진구 9.5%, 동대문구 9.3%, 성북구 9.2%, 노원구 9.0% 등의 오름폭이 컸다. 송파구(8.8%)와 강서구(8.1%), 도봉구(7.8%)도 평균 이상으로 상승했다.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서울 외곽 지역의 전셋값 상승이 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권보다 두드러진 것으로 보인다. 강남 3구 중에는 송파구가 평균 이상 상승했지만, 강남구(7.1%)와 서초구(7.6%)는 평균 상승에 미치지 못했다.
전셋값이 3개월간 가장 적게 오른 지역은 영등포구로 3.3% 상승에 그쳤다. 용산구(3.8%)와 중랑구(5.3%)도 오름폭이 작았다.
같은 면적 기준 성동구가 21.9%(1억1048만원) 올라 뒤를 이었고, 광진구 19.6%(9997만원), 금천구 19.4%(5962만원), 송파구 19.2%(1억131만원), 성북구 17.8%(7387만원), 강북구 16.9%(5681만원), 은평구 16.4%(5766만원) 등의 순이었다.
2년간 전셋값이 가장 적게 오른 지역은 구로구였다. 전용 86.8㎡ 아파트 기준 3292만원 올랐다. 이어 중랑구(3609만원), 도봉구(3559만원), 서대문구(4244만원) 순이었다.
지난달 기준 전셋값이 가장 비싼 지역 역시 강남구로, 86.8㎡짜리 전세 아파트를 얻는데 평균 9억786만원이 필요했다. 서초구가 8억324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송파구에서는 6억2809만원이 들었고, 성동구 6억1529만원, 광진구는 6억909만원, 중구는 6억854만원, 마포구는 5억8905만원, 용산구는 5억8084만원이 필요했다.
전셋값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도봉구다. 86.8㎡ 아파트 기준으로 평균 3억4307만원이 필요했고, 금천구(3억6752만원), 노원구(3억7415만원), 중랑구(3억8207만원), 강북구(3억9249만원)가 4억원 미만이었다.
전세 품귀 속에 전셋값은 당분간 계속 오를 것으로 보여 4억원 미만 전세도 점차 사라져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서울의 KB 전세수급지수는 191.8로 전달(189.3)보다 2.4포인트 올라가 2015년 10월(193.8)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0∼200 사이 숫자로 표현되며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 부족' 비중이 높음을 뜻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금천구 등 외곽 중심으로 평균 전셋값 치솟아
2일 KB국민은행 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전월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3677만원으로 집계됐다. 조사 이후 처음으로 5억원을 넘겼던 8월과 비교했을 때 3756만원(7.5%) 상승한 수준이다. 2년 전인 2018년 10월과 비교하면 7517만원(16.3%) 뛰었다.최근 3개월 간 상승률이 2년 상승률의 절반에 가까운 데, 이는 직전 1년 9개월 동안 오른 것과 맞먹는다. 이 추세대로라면 6개월 뒤에는 지난 2년 동안 올랐던 것을 따라잡을 예정이다.
새 임대차법이 시행돼 8~10월 전세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전셋값이 크게 오른 것이 통계에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지난 7월 시행된 새 임대차법은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 도입이 골자다.
서울만 놓고 보면 아파트 전셋값은 3개월 사이 ㎡당 평균 44만2000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3.3㎡(1평)당 평균 145만9000원 오른 것이다.
전용 86.8㎡ 아파트를 기준으로 보면 금천구가 3개월 사이 전셋값이 11.0%(3640만원) 올라 서울에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어 성동구 10.9%, 은평구 10.3%, 강동구 10.2%로 10% 넘게 상승했다. 강북구 9.5%, 광진구 9.5%, 동대문구 9.3%, 성북구 9.2%, 노원구 9.0% 등의 오름폭이 컸다. 송파구(8.8%)와 강서구(8.1%), 도봉구(7.8%)도 평균 이상으로 상승했다.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서울 외곽 지역의 전셋값 상승이 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권보다 두드러진 것으로 보인다. 강남 3구 중에는 송파구가 평균 이상 상승했지만, 강남구(7.1%)와 서초구(7.6%)는 평균 상승에 미치지 못했다.
전셋값이 3개월간 가장 적게 오른 지역은 영등포구로 3.3% 상승에 그쳤다. 용산구(3.8%)와 중랑구(5.3%)도 오름폭이 작았다.
강남구, 2년 전과 비교하면 평균 전셋값 가장 많이 올라
전세 계약 갱신 기간인 2년 전과 비교하면 평균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강남구다. 86.8㎡ 아파트 기준으로 보면 20.4%(1억5363만원) 올랐다.같은 면적 기준 성동구가 21.9%(1억1048만원) 올라 뒤를 이었고, 광진구 19.6%(9997만원), 금천구 19.4%(5962만원), 송파구 19.2%(1억131만원), 성북구 17.8%(7387만원), 강북구 16.9%(5681만원), 은평구 16.4%(5766만원) 등의 순이었다.
2년간 전셋값이 가장 적게 오른 지역은 구로구였다. 전용 86.8㎡ 아파트 기준 3292만원 올랐다. 이어 중랑구(3609만원), 도봉구(3559만원), 서대문구(4244만원) 순이었다.
지난달 기준 전셋값이 가장 비싼 지역 역시 강남구로, 86.8㎡짜리 전세 아파트를 얻는데 평균 9억786만원이 필요했다. 서초구가 8억324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송파구에서는 6억2809만원이 들었고, 성동구 6억1529만원, 광진구는 6억909만원, 중구는 6억854만원, 마포구는 5억8905만원, 용산구는 5억8084만원이 필요했다.
전셋값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도봉구다. 86.8㎡ 아파트 기준으로 평균 3억4307만원이 필요했고, 금천구(3억6752만원), 노원구(3억7415만원), 중랑구(3억8207만원), 강북구(3억9249만원)가 4억원 미만이었다.
전세 품귀 속에 전셋값은 당분간 계속 오를 것으로 보여 4억원 미만 전세도 점차 사라져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서울의 KB 전세수급지수는 191.8로 전달(189.3)보다 2.4포인트 올라가 2015년 10월(193.8)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0∼200 사이 숫자로 표현되며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 부족' 비중이 높음을 뜻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