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는 2일(현지시간) ‘3일 대선부터 (대통령 취임식이 있는) 1월20일까지 두달여 동안 미국에 심각한 정치적 마비와 정체가 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상 이 기간은 새로운 대통령 내정자가 집권 후 국정 방향을 숙고하는 시기이고, 미 의회에는 레임덕 기간이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어떤 결과가 나오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나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불복할 가능성이 높다는 불확실성이 있다. 이렇게 양측이 각을 세우게 될 경우 미 의회에서 코로나19 경기부양책이 합의되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코로나19로 타격이 큰 여행, 식당 등 업종은 올해 중 코로나19 경기부양책이 나오지 못한다면 고사할 가능성이 높다. 심지어 겨울철에 고객이 줄어들 전망인 음식점의 경우 40% 가량이 경기부양책이 없다면 내년 3월까지 폐업하겠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이미 코로나19로 일자리 400만개가 사라진 여행업계의 경우 역시 경기부양책이 없다면 추가로 일자리 100만개가 소멸될 수 있다. 항공업계도 마찬가지다.
실업자들이 받아야 하는 실업수당도 문제다. 겨울에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 유행하는 트윈데믹 공포가 높아졌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까지 뚜렷한 관련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이미 연 초 미 의회가 합의한 2조700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 자금 중 90%가 소진됐기 때문에 추가부양책 없이 미 경제가 이번 겨울을 버티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