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 공연장 '줄도산'하는데 '반값 공연장' 만든 서울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반인 대상 문화시설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지점엔 170석 규모 '반값 공연장'으로 운영
같은 규모 공연장보다 대관료 등 값싸게 책정한 뒤
4일 개관 직전 "일반 밴드에도 전면 개방"
코로나19로 고사 직전인 홍대 앞 공연장들
"올해만 5곳 폐업…서울시가 영세업자 생존권 침해"
서교 지점엔 170석 규모 '반값 공연장'으로 운영
같은 규모 공연장보다 대관료 등 값싸게 책정한 뒤
4일 개관 직전 "일반 밴드에도 전면 개방"
코로나19로 고사 직전인 홍대 앞 공연장들
"올해만 5곳 폐업…서울시가 영세업자 생존권 침해"
V홀, 무브홀, BGBD(구 드럭), 퀸라이브홀, 라이브와이어, KT&G 상상마당 베짱이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문을 닫았거나 운영 중단 상태인 홍대 앞 공연장들이다. 연말까지 더 많은 공연장들이 폐업 신고할 전망이다. 이로 인해 수십 명의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가 이곳에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를 열고 공연장을 반값에 빌려주기 시작해 논란이 되고 있다. 공연업체 관계자들은 "서울시가 반값 대관료를 앞세워 고사 위기에 처한 공연업체들과 경쟁하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 공연장 관계자들이 지난 3일 긴급 회담을 열었다. 4일 개관한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였다.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는 고 박원순 시장의 작품이다. 서울시가 일반인들의 예술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 곳곳에 마련하고 있는 공간 중 하나다. 서교점은 2호선 합정역 인근 '서교동 역세권 청년주택' 지하 1~2층에 4423㎡, 약 160석 규모로 지어졌다. 다른 곳과 달리 일반 공연장과 비슷한 형태로 만들었다. 밴드와 연극 등 연습실 4곳과 사무실, 커뮤니티실 등도 운영한다. 서울시는 당초 "공익과 주민자치 활동 목적의 일반인 공연을 대관비 부담 없이 싸게 무대에 올리도록 지원하기 위한 시설"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개관을 앞두고 돌연 "상업 공연도 올릴 수 있다"며 입장을 바꿨다. 동아리 활동을 하는 일반인 뿐만 아니라 기성 가수와 프로 밴드들도 이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민간 공연장 운영자 85곳은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의 개관은 상생을 추구하고 감독해야 하는 서울시가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행위"라며 서울시에 개관 취소를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25년간 공연장을 운영해온 김천성 롤링홀 대표는 "기존 공연장들이 10분의 1 수준의 가동률로 힘겹게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170석 규모의 새 공연장을 개관, 싸게 상업 공연장으로 운영하는 것은 기존 업체들에 사업하지 말라는 것"이라며 "공연 분야를 코로나19 특별 지원 업종으로 분류해놓고 소상공인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공연장 관계자도 "공공 목적의 일반인 문화 향유시설이라고 해놓고 반값에 프로 밴드들까지 합주실, 공연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엄연히 생존권 침해"라며 "개관 전까지 단 한 차례의 공청회조차 없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시민의 문화활동 지원을 위해 2012년부터 서울 각 지역 거점에 생활문화센터를 짓고 있다. 서교점은 2012년 신도림, 2018년 체부, 2020년 낙원에 이어 네 번째로 개관한 문화센터다. 서울시는 2023년까지 총 7곳을 조성할 방침이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가 이곳에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를 열고 공연장을 반값에 빌려주기 시작해 논란이 되고 있다. 공연업체 관계자들은 "서울시가 반값 대관료를 앞세워 고사 위기에 처한 공연업체들과 경쟁하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영세업자들과 경쟁하겠다는 서울시
홍대 앞 서교동, 합정동, 동교동, 연남동 일대엔 중소 규모 공연장들이 모여 있다. 총 85곳에 이른다. 1990년대 인디 음악의 발원지이지 대중문화 생태계를 이끌어온 공연장들이다. 이들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셧다운이 반복되자 생존의 위기에 처했다.이 공연장 관계자들이 지난 3일 긴급 회담을 열었다. 4일 개관한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였다.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는 고 박원순 시장의 작품이다. 서울시가 일반인들의 예술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 곳곳에 마련하고 있는 공간 중 하나다. 서교점은 2호선 합정역 인근 '서교동 역세권 청년주택' 지하 1~2층에 4423㎡, 약 160석 규모로 지어졌다. 다른 곳과 달리 일반 공연장과 비슷한 형태로 만들었다. 밴드와 연극 등 연습실 4곳과 사무실, 커뮤니티실 등도 운영한다. 서울시는 당초 "공익과 주민자치 활동 목적의 일반인 공연을 대관비 부담 없이 싸게 무대에 올리도록 지원하기 위한 시설"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개관을 앞두고 돌연 "상업 공연도 올릴 수 있다"며 입장을 바꿨다. 동아리 활동을 하는 일반인 뿐만 아니라 기성 가수와 프로 밴드들도 이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반값 공연장, 얼마나 싸길래
가격은 반값에 제공한다. 홍대 인근 공연장의 대관 시세는 주말 기준 240만~260만원 선이다. 무브홀, 브이홀 등 중견급 이상의 공연장은 280만~500만원 선이다.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는 주말 120만~14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대학 동아리 등은 50% 할인된 가격에 제공한다는 정책도 내걸었다.민간 공연장 운영자 85곳은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의 개관은 상생을 추구하고 감독해야 하는 서울시가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행위"라며 서울시에 개관 취소를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25년간 공연장을 운영해온 김천성 롤링홀 대표는 "기존 공연장들이 10분의 1 수준의 가동률로 힘겹게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170석 규모의 새 공연장을 개관, 싸게 상업 공연장으로 운영하는 것은 기존 업체들에 사업하지 말라는 것"이라며 "공연 분야를 코로나19 특별 지원 업종으로 분류해놓고 소상공인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공연장 관계자도 "공공 목적의 일반인 문화 향유시설이라고 해놓고 반값에 프로 밴드들까지 합주실, 공연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엄연히 생존권 침해"라며 "개관 전까지 단 한 차례의 공청회조차 없었다"고 말했다.
시 "상업목적 아니다" 일반 공연장 "공청회 한번 안했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생활문화센터 조성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설치 계획이 완료돼 있던 것"이라며 "공공성, 주민자치 성격을 띤 단체의 공연을 중심으로 진행할 것이므로 상업적 목적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 “청년 예술가들에게 값싸게 연습실과 강의실을 지원하는 것은 생태계 파괴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서울시는 시민의 문화활동 지원을 위해 2012년부터 서울 각 지역 거점에 생활문화센터를 짓고 있다. 서교점은 2012년 신도림, 2018년 체부, 2020년 낙원에 이어 네 번째로 개관한 문화센터다. 서울시는 2023년까지 총 7곳을 조성할 방침이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