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트럼프 보복 우려에 언급 자제
러 "공식 발표 나온뒤 축하인사"
북한도 대응 전략 마련중인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게 각국 정상들이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축하 메시지를 보내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아직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승복 이후에나 공식 축하 전문을 보낼 것이란 관측이 많다. 미국 내 혼란한 상황을 이용한 ‘기 싸움’을 벌이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베이징 소식통은 9일 “중국 지도자들은 관행적으로 미 대선에서 패자가 승복하고 승자가 수락 연설을 한 다음 축전을 보내왔다”고 설명했다. 중국 외교부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가 알기로 대선 결과는 미국의 법률과 절차에 따라 확정된다”며 “입장 표명은 국제 관례에 따라 할 것”이라고만 했다.
이런 상황 속에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날 쓰촨~신장 철도 착공과 관련한 중요 지시에서 “이는 신시대 중국 공산당의 신장위구르 지역 통치를 위한 중요 전략이자 국가 통일을 수호하고 민족 단결을 유지하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장 지역은 인권 문제를 놓고 미·중이 첨예하게 대립해온 곳이다. 바이든 당선인이 속한 민주당이 전통적으로 인권 문제를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향후 시 주석이 신장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일종의 기 싸움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이날까지 바이든 당선인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푸틴 대통령은 4년 전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됐을 당시 확정 몇 시간 만에 축하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크렘린궁 측은 “공식 개표 결과가 나온 뒤에 푸틴 대통령이 축하 인사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욕타임스는 푸틴 대통령이 바이든을 적(敵)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운 자국 우선주의는 미국을 고립시켜 러시아에 득이 되지만, 바이든이 강조하고 있는 동맹 복원은 러시아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설명이다.
김정은
북한도 침묵하고 있다. 관영 매체는 물론 ‘우리민족끼리’ 같은 대외 선전용 매체도 선거 결과에 대해 무반응을 보였다. 미·북 관계가 180도 바뀔 수 있는 상황에서 관련 보도를 자제하며 대응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들의 침묵에 대해 일각에서는 바이든을 트럼프보다 더 상대하기 어려운 상대로 보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바이든 당선인은 지난달 러시아를 미국 국가안보의 가장 큰 위협으로 거론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보다 훨씬 강경한 성향을 보여 왔다.
찰스 바클리, 샤킬 오닐, 케니 스미스 같은 과거 NBA 스타들의 재치 넘치는 진행으로 한국의 NBA 팬들에게도 인기가 높은 미국 TNT 채널의 '인사이드 NBA(Inside the NBA)'. 시즌 중 미국 현지에서 매주 목요일 밤 방송돼 온 이 인기 프로그램이 지금과 같은 형태를 내년 시즌에도 유지할 수 있을지는 NBA 팬들의 최근 관심사였다. 내년 시즌에 이 프로그램이 ESPN으로 이동하기로 결정되면서 진행자들의 재계약 여부가 불투명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샤킬 오닐이 연간 1500만 달러(약 216억 원)를 받기로 프로그램 측과 새로운 장기계약을 체결했다는 보도가 나옴에 따라 이 프로그램은 내년에도 지금의 진행자들과 함께 할 공산이 커졌다. 프론트 오피스 스포츠 등 미국 외신들은 오닐이 계약 기간이 알려지지 않은 이런 내용의 계약을 채결했다고 지난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번 계약 소식은 인사이드 NBA가 TNT에서 마지막 시즌을 방송하는 가운데 전해졌다. TNT는 최근 NBA와의 새로운 미디어 계약에서 중계권을 잃었다. 대신 아마존과 NBC가 ESPN과 함께 향후 11년 동안 NBA 방송권을 확보했다.TNT가 NBA 중계권을 잃게 되면서 오랜 기간 목요일 밤과 플레이오프 기간 TNT의 스튜디오 방송을 이끌어 온 인사이드 NBA가 폐지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이 프로그램은 샤킬 오닐, 찰스 바클리, 케니 스미스, 그리고 진행자 어니 존슨이 함께하며 팬들과 평단의 사랑을 받아왔다.하지만 ESPN은 TNT와 새 계약을 맺어 터너 스포츠가 계속해서 프로그램을 제작해 ESPN과 ABC에서 방송하게 됐다. 그리고 오닐이 계속해서 출연한다는 것이 확정됐다. 앞서 찰스 바클리는 지난 2022년 TNT와 10년 계약을 맺은 바 있다. 그는 연간 2100만 달러(30
이시바 시게루 일본 내각의 지지율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그러나 이시바 총리가 지난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에서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았음에도 여전히 지지율은 낮은 상태다.마이니치신문은 15∼16일 전국 성인 2043명(유효 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시바 총리가 이끄는 내각의 지지율이 전월보다 2%포인트 상승한 30%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이 신문의 월례 조사에 따르면, 이시바 내각이 출범한 지난해 10월 지지율은 46%였으나 11월 31%로 급락한 뒤 12월 30%, 올해 1월 28%까지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 이번 조사에서 4개월 만에 소폭 반등한 것으로 분석됐다.교도통신이 15∼16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이시바 내각의 지지율은 39.6%로 전월보다 3.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교도통신 조사에서 지난 7일 열린 미·일 정상회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50.1%였으며,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42.7%로 집계됐다.앞서 NHK가 정상회담 성과를 반영해 7∼9일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는 이시바 내각 지지율이 44%로 나타나 전월 대비 5%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미국 국무부가 최근 홈페이지에서 '대만 독립 반대' 문구를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16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최근 홈페이지의 '대만과의 관계에 관한 팩트시트' 자료를 업데이트하면서 "우리는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문구를 삭제했다.이와함께 대만이 미 국방부의 반도체 개발 프로젝트 등에 협력하고 있다는 문구를 추가했다.또 "적절한 국제기구의 가입을 포함한 대만의 의미 있는 참여를 지지한다"는 내용도 들어갔다.미 국무부는 "우리는 (중국과 대만) 어느 쪽에서든 현 상태를 일방적으로 바꾸려는 것에 반대한다"며 "양안의 입장 차이는 강제성 없는 평화적인 방식으로 해결돼야 하며 양안의 주민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미국의 역대 행정부는 대만 문제와 관련해 '하나의 중국 정책'을 견지해 왔는데 이 정책은 미국이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고, 중국이나 대만 어느 한쪽이 현 상황을 일방적으로 바꾸는 것에 반대하며, 양안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기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이런 정책의 뼈대를 이루는 문구를 일부 삭제한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가 대만에 대한 지지 의사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지난 15일에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독일 뮌헨안보회의를 계기로 회담한 뒤 공동성명을 통해 "대만의 적절한 국제기구에의 의미 있는 참여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히기도 했다.또 10∼12일에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미 해군 구축함이 대만해협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