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新청량산유람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계숙 < 배화여대 전통조리과 교수 kss@baewha.ac.kr >
바야흐로 단풍철이다. 집 문밖에만 나서도 만산홍엽이다. 늦은 가을에 경북 봉화에 다녀왔다. 봉화는 지금까지 송이버섯의 산지라고 한두 번 들어본 적이 있을 뿐, 그 땅을 밟아본 적은 없다. 봉화를 간다기에 소나무 숲에 가서 송이버섯 두어 개 따고 오겠거니 했다.
문수산 휴양림에서 맞은 아침 바람은 시원하다 못해 시렸다. 낙동강의 발원지에서 시작해 강이 휘돌아 흐르는 길을 따라 종일 걸어보았다. 일행 중 한 사람이 봉화에 작은 산이 있는데 잠깐 다녀오자고 한다. 하늘도 높고 바람도 소슬하니 아무것도 묻지 않고 그의 손에 이끌려 도착한 곳은 가파르기 이를 데 없는 산이었다. 각도기를 가져다 각도를 재보면 거의 45도는 나옴 직하다.
산세가 가파르니 한 발자국을 옮기기에도 숨이 차다. 이 산 높이가 870m인데, 산 아래서 정상까지 제일 빠른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산이라고 한다. 군대에서 유격훈련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닌가 잠깐 착각에 빠졌다.
가까스로 도착한 산사는 의외로 고요했다. 그때까지도 나는 이 산이나 절에 대해서 아무것도 아는 바가 없었다. 산사는 분지처럼 산속에 폭 싸여 있다. 뒤편은 높고 가파른 석벽이 딱 버티고 있고, 좌우는 단풍이 출렁이는 산들이 에워싸고 있으며 앞은 일망무제로 탁 트였다. 내가 있는 곳은 연잎으로 치면 꽃술 자리가 아닌가. 사면이 둘러싸여 있어 바람 하나 통할 것 같지 않은데 어디서 이리 맑고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나 했다.
사찰을 소개해 주는 해설사는 산 이름이 청량산이고 이 절 이름이 청량사라고 한다. 청량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 의상대사가 창건했고 ‘유리보전(琉璃寶殿)’이라는 굵은 글씨의 현판은 공민왕의 친필이라는 설명이다. 퇴계 이황 선생은 도산서원을 근거로 하여 후학 양성에 힘쓰면서 청량산에 여러 번 다녀갔다 한다. 풍경은 부는 바람에 계속 딸랑거리고 때맞춰 치는 범종 소리가 은은하게 퍼진다. 단풍은 바람 따라 흐르니 낙엽이 꽃비처럼 흩어진다.
조금만 더 가면 하늘다리를 볼 수 있다 하니 안 가볼 수 없다. 깎아지른 절벽 곳곳을 물들인 단풍 아래서 나는 은행잎이 되고 떡갈나무가 됐고 붉은 단풍이 됐다. ‘먼 곳 차가운 산 돌계단은 아래로 경사지고 흰 구름 어디서 오나 했는데 인가에서 오는 것일세. 수레를 멈추고 앉아서 늦가을 단풍을 보노라니 서리 맞은 단풍이 2월의 꽃보다 더 붉구나’라고 노래한 당나라 때 두목의 ‘산행’이라는 시 한 수가 절로 읊어진다. 하늘다리에 오르니 봉화가 첩첩산중 발아래 펼쳐진다. 연적봉의 천 길 낭떠러지 절벽에서 탁필봉 자소봉을 바라보니 백두대간이 손에 잡히는 듯하다. 이래서 조선시대 선비들이 청량산 유람기를 그토록 많이 남기고 싶어 했나 보다.
문수산 휴양림에서 맞은 아침 바람은 시원하다 못해 시렸다. 낙동강의 발원지에서 시작해 강이 휘돌아 흐르는 길을 따라 종일 걸어보았다. 일행 중 한 사람이 봉화에 작은 산이 있는데 잠깐 다녀오자고 한다. 하늘도 높고 바람도 소슬하니 아무것도 묻지 않고 그의 손에 이끌려 도착한 곳은 가파르기 이를 데 없는 산이었다. 각도기를 가져다 각도를 재보면 거의 45도는 나옴 직하다.
산세가 가파르니 한 발자국을 옮기기에도 숨이 차다. 이 산 높이가 870m인데, 산 아래서 정상까지 제일 빠른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산이라고 한다. 군대에서 유격훈련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닌가 잠깐 착각에 빠졌다.
가까스로 도착한 산사는 의외로 고요했다. 그때까지도 나는 이 산이나 절에 대해서 아무것도 아는 바가 없었다. 산사는 분지처럼 산속에 폭 싸여 있다. 뒤편은 높고 가파른 석벽이 딱 버티고 있고, 좌우는 단풍이 출렁이는 산들이 에워싸고 있으며 앞은 일망무제로 탁 트였다. 내가 있는 곳은 연잎으로 치면 꽃술 자리가 아닌가. 사면이 둘러싸여 있어 바람 하나 통할 것 같지 않은데 어디서 이리 맑고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나 했다.
사찰을 소개해 주는 해설사는 산 이름이 청량산이고 이 절 이름이 청량사라고 한다. 청량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 의상대사가 창건했고 ‘유리보전(琉璃寶殿)’이라는 굵은 글씨의 현판은 공민왕의 친필이라는 설명이다. 퇴계 이황 선생은 도산서원을 근거로 하여 후학 양성에 힘쓰면서 청량산에 여러 번 다녀갔다 한다. 풍경은 부는 바람에 계속 딸랑거리고 때맞춰 치는 범종 소리가 은은하게 퍼진다. 단풍은 바람 따라 흐르니 낙엽이 꽃비처럼 흩어진다.
조금만 더 가면 하늘다리를 볼 수 있다 하니 안 가볼 수 없다. 깎아지른 절벽 곳곳을 물들인 단풍 아래서 나는 은행잎이 되고 떡갈나무가 됐고 붉은 단풍이 됐다. ‘먼 곳 차가운 산 돌계단은 아래로 경사지고 흰 구름 어디서 오나 했는데 인가에서 오는 것일세. 수레를 멈추고 앉아서 늦가을 단풍을 보노라니 서리 맞은 단풍이 2월의 꽃보다 더 붉구나’라고 노래한 당나라 때 두목의 ‘산행’이라는 시 한 수가 절로 읊어진다. 하늘다리에 오르니 봉화가 첩첩산중 발아래 펼쳐진다. 연적봉의 천 길 낭떠러지 절벽에서 탁필봉 자소봉을 바라보니 백두대간이 손에 잡히는 듯하다. 이래서 조선시대 선비들이 청량산 유람기를 그토록 많이 남기고 싶어 했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