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이 지방 집값도 끌어올렸다…매매가 상승폭 역대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감정원 주간 아파트 시세
지방 아파트값 8년여 만에 최고 상승폭…통계 작성 이래 최대
서울 매매가는 23주째 올라
지방 아파트값 8년여 만에 최고 상승폭…통계 작성 이래 최대
서울 매매가는 23주째 올라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ZA.24391635.1.jpg)
12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1월 둘째주(9일 기준)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0.21% 올랐다. 지난주(0.17%) 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값은 22주 연속 오르는 중이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동일한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만 강남 지역에선 매물이 누적되며 고가 단지 위주로 거래 위축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강남·서초·송파(0.00%) 강남 3구 모두 보합을 기록했다. 강동구에선 명일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일부 상승세가 나타나면서 0.01% 소폭 올랐다. 감정원 관계자는 “보유세 부담 있는 강남권 고가 단지는 가격이 하향 조정되고 관망세 보이고 있으나, 그 외 지역은 역세권이나 중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에선 비규제지역인 김포시가 1.91% 뛰면서 가파른 가격 상승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과 3호선 연장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파주(0.47%)나 서울과 가까운 고양 덕양구(0.38%), 남양주(0.29%) 등의 지역에서 중저가 아파트 매수세가 강하다. 인천 집값 0.15%에서 0.16%로 크게 오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부산·대전이 차례로 ‘10억 클럽’에 가입하는 등 지방 집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이자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최근 “투기 자본이 규제를 피해 지방 광역시로 이동하는 것을 통계로 확인하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전세난이 지방 집값도 끌어올렸다…매매가 상승폭 역대 최대](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402410.1.png)
강남권에서 오름세가 더 가팔랐다. 서초구가 0.22%, 강남구와 송파구가 각각 0.21%, 강동구는 0.20%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국감정원은 “청약 대기수요, 거주요건 강화 등의 영향으로 거래 가능한 매물이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학군 및 역세권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하고 있다”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