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임단협을 둘러싸고 한국GM 노조가 부분파업에 나섰다. 사진=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
2020년 임단협을 둘러싸고 한국GM 노조가 부분파업에 나섰다. 사진=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가 불안에 떨고 있다. 완성차 업체들의 노사갈등이 지속되며 파업 위기감도 높아진 탓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5사 가운데 현대차쌍용차를 제외한 3사는 아직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했다. 협상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으며 일부 업체는 파업도 진행 중이다. 2020년이 두 달도 남지 않은 시점이기에 완성차 업체들의 노사갈등은 해를 넘겨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GM 노조는 지난달부터 임금 인상과 부평2공장 신차배정 등을 요구하며 잔업·특근 거부와 부분파업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달 23일부터 잔업·특근 거부를 시작했고 30일과 이달 2일, 6일, 9∼13일 동안 전반조와 후반조 근로자가 각각 4시간 손을 놓는 부분파업이 이뤄진다. 사측도 파업으로 인한 유동성 악화를 이유로 2100억원대 규모 인천 부평공장 투자계획을 보류하겠다며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는 상황이다.

기아차 노조도 쟁위행위 찬반 투표와 중노위 조정 중지 결정으로 파업권을 확보했다. 올해 임단협에서는 영업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배분하고, 기본급을 올리며 정년도 5년 연장하라는 요구를 내세웠다. 노조의 요구에 기아차는 생산직 정년 퇴직자가 최대 1년까지 연장 계약 형태로 근무할 수 있는 '베테랑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겠다는 제시안을 내놨다. 다만 임금인상 요구에는 응하지 않아 노조가 즉각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서울 강남구 르노삼성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연 르노삼성 노동조합 모습. 사진=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지난 1월 서울 강남구 르노삼성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연 르노삼성 노동조합 모습. 사진=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르노삼성 노조는 새 집행부 임기가 시작되면 파업 준비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르노삼성 노조는 2018년 임단협을 두고 60여 차례 부분파업을 벌인 바 있다. 부분파업은 전면파업으로 확대됐고, 르노삼성은 직장폐쇄로 맞대응하며 '강대강' 대치를 이어갔다.

지난해 임단협을 두고도 지난 6월 파업이 벌어졌다. 올해 임단협도 지난 9월까지 6차례 실무교섭이 이뤄졌지만, 성과는 없었다. 이달 진행된 새 집행부 투표에서 강경 투쟁을 반복해온 현 집행부가 승리하면서 올해 임단협을 두고도 노사갈등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완성차 업체들의 노사갈등이 고조되며 부품업계는 공포에 떨고 있다.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수출이 급감해 이미 큰 타격을 입었는데, 국내 완성차 업계 파업까지 더해지면 줄줄이 도산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국GM 협력업체 모임 협신회에 따르면 한국GM의 연간 생산량은 2017년 52만대에서 지난해 41만대 규모로 감소했다. 올해는 상반기 생산량이 16만대를 밑돌면서 연 생산량은 30만대를 다소 웃도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우려된다.
한 도금 공장 직원이 자동차 부품에 니켈크롬도금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경제DB
한 도금 공장 직원이 자동차 부품에 니켈크롬도금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경제DB
협신회 측은 한국GM의 생산계획에 맞춰 인력과 설비를 투입했는데, 파업으로 생산계획에 차질이 빚어지면 협력업체들이 추가적인 손실을 입게 된다고 지적한다. 한 2차 협력사 대표는 "이미 궁지에 몰린 처지"라며 전면파업 등 상황이 악화될 경우 부도를 피하지 못할 수 있다고 토로했다.

닛산 로그 위탁생산이 끝나고 이미 생산절벽이 현실화된 르노삼성 협력사들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르노삼성자차수탁기업협의회는 생산절벽이 현실화되고 차량 판매가 감소한 올 초부터 1차 협력사의 공장 가동이 주 3~4일 밖에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줄도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출해왔다.

협력사 중 한 곳인 흥아포밍은 지난해 95억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냈다. 적자전환으로 차입금 부담이 커지자 자산 효율화를 위해 일부 공장도 처분해야 했다. 노조의 파업으로 XM3(현지명 아르카나)의 유럽 수출과 판매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이미 한계상황에 처한 협력사들의 줄도산도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부품업계는 코로나19로 상반기 해외 판로가 끊기고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생산차질도 발생하며 큰 손실을 입은 상황"이라며 "추가적인 타격을 버텨낼 체력이 없다. 상생이 필요한 곳은 부품업계"라고 지적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