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직격탄을 맞은 아모레퍼시픽이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직격탄을 맞은 아모레퍼시픽이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연합뉴스
아모레퍼시픽그룹이 희망퇴직을 시행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국내·외 사업환경이 여의치 않다고 판단해 비용 절감 차원에서 자구책 찾기에 나선 것이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13일 오후 희망퇴직 공지를 게재했다. 대상자는 다음달 31일 기준으로 근속 만 15년차 이상인 직원으로, 오는 18일부터 24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아모레퍼시픽그룹측은 공지를 통해 “최근 비대면 거래 확대 등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큰 어려움에 처했다”며 “전사 비용 절감, 임원 급여 삭감, 조직 인력 재배치 등 강도 높은 자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황을 극복하기에는 미흡하다고 판단해 불가피하게 희망퇴직을 시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희망 퇴직 신청자에게는 법정 퇴직금과 희망퇴직 지원금 등 위로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만 15년차 근속 직원이 신청할 경우 15+5개월로 총 20개월치 임금을 준다. 20년차 이상 직원에게는 근속연수와 관계 없이 40개월치 급여를 위로금으로 준다.

아모레퍼시픽이 지난 12일 내년 1월1일자 인사와 조직개편안을 발표한 데 이어 이날 희망퇴직 시행까지 공지하면서 위기상황 타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힌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2017년 중국의 한한령 이 후 계속 실적이 부진했던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 초 코로나19 이후 더 큰 타격을 받았다. 4월엔 북미지역과 유럽 매장의 95~100%가 문을 닫았고 주요 시장인 태국, 말레이시아 등 아세인 지역에서도 매장의 90% 가량이 폐점했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3조6687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3.3% 줄었다. 영업이익은 올해 3분기까지 1652억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62.1%나 급감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이번 공지를 통해 “앞으로 기업 경영 전반의 체질을 개선하는 강도 높은 쇄신의 노력을 통해 직면한 위기를 타개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