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官피아' 논란에…은행聯 회장 민간 출신으로 '선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종구 등 관료 출신 고사하자
김병호·박진회·신상훈·이대훈 등
금융지주 대표·은행장 출신 거론
은행聯 이사회, 이번주 후보 압축
김병호·박진회·신상훈·이대훈 등
금융지주 대표·은행장 출신 거론
은행聯 이사회, 이번주 후보 압축
금융권 최대 유관단체인 전국은행연합회의 새로운 수장을 결정하는 판세에서 무게추가 민간 출신으로 기울었다.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관료 출신 인사가 잇달아 협회장직을 고사하면서 은행장 출신 후보군이 급부상하고 있다. 손해보험협회장과 서울보증보험 사장 인선에서 ‘관피아(관료+모피아)’ 논란이 일자 금융인들의 입지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협회장 물망에 최 전 위원장이 ‘1순위’로 올랐지만 그는 자리에 생각이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최 전 위원장을 따라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지낸 김용환 전 농협금융 회장과 윤대희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등 관료 출신도 은행연합회장 후보군에서 제외해 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금융 관료들의 고사로 전현직 금융지주 회장이나 은행장 출신의 협회장 취임이 가시화됐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대훈 전 농협은행장과 함께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과 민병덕 전 국민은행장, 김병호 전 하나금융 부회장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박진회 전 씨티은행장 등도 후보군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관료 출신 중에서도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은 아직까지 이름이 오르내린다. 관건은 이사회에서 어떤 후보가 금융당국 등을 상대로 한 소통에 능하다는 평가를 받을지와 대형 시중은행들과의 마찰 우려가 없을지다.
은행연합회장과 생명보험협회장 자리에도 전직 금융 관료가 앉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정치권 등에서는 ‘관피아 싹쓸이’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늘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을 상대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관료 출신을 선호하기도 하지만 금융당국 인사들의 자리 챙겨주기라는 비판도 분명히 있다”고 지적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협회장 후보는 1명 추천이 원칙
15일 은행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 이사회는 이번주 회장 후보 추천을 위한 회의체를 열어 회장 후보군을 압축한다. 오는 30일 임기가 끝나는 김태영 은행연합회장을 대신할 인물이다. 이사회는 10여 명의 후보군을 확보하고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은행연합회장과 신한 국민 하나 우리은행 등 10명의 은행장으로 구성된 회장후보추천회의체는 원칙적으로 한 명의 후보를 총회에 추천한다.협회장 물망에 최 전 위원장이 ‘1순위’로 올랐지만 그는 자리에 생각이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최 전 위원장을 따라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지낸 김용환 전 농협금융 회장과 윤대희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등 관료 출신도 은행연합회장 후보군에서 제외해 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금융 관료들의 고사로 전현직 금융지주 회장이나 은행장 출신의 협회장 취임이 가시화됐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대훈 전 농협은행장과 함께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과 민병덕 전 국민은행장, 김병호 전 하나금융 부회장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박진회 전 씨티은행장 등도 후보군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관료 출신 중에서도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은 아직까지 이름이 오르내린다. 관건은 이사회에서 어떤 후보가 금융당국 등을 상대로 한 소통에 능하다는 평가를 받을지와 대형 시중은행들과의 마찰 우려가 없을지다.
‘관료 독식’ 논란에 민간 후보 부각
은행연합회장 후보로 금융인이 떠오르는 배경에는 금융 관련 협회장 등에서 ‘관료 독식’ 현상이 심하다는 비판이 영향을 줬을 것이란 평가가 많다. 손해보험협회장에는 관료 출신인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내정됐고, 유광열 전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서울보증보험의 차기 사장을 맡기로 했다. 서울보증보험은 공기업인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94%를 보유하고 있다. 금융위 상임위원을 지낸 정 이사장은 한국증권금융 사장을 포함해 세 번째로 금융당국의 직접 영향권에 있는 회사 대표가 된다. 유 전 수석부원장은 금감원을 떠난 지 반 년도 안 됐다.은행연합회장과 생명보험협회장 자리에도 전직 금융 관료가 앉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정치권 등에서는 ‘관피아 싹쓸이’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늘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을 상대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관료 출신을 선호하기도 하지만 금융당국 인사들의 자리 챙겨주기라는 비판도 분명히 있다”고 지적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