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가치 3년 내 15% 하락? 근심 커진 서학개미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골드만삭스·JP모간
"달러 약세 이어질 것"
vs
UC버클리 아이컨그린
"대체할 통화가 없다"
"달러 약세 이어질 것"
vs
UC버클리 아이컨그린
"대체할 통화가 없다"
미국 달러화 가치는 코로나 대란이 터진 지난 3월 급등한 뒤 조금씩 내리고 있습니다.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하락세는 가팔라졌습니다. 특히 중국 위안화와 원화에 비해 많이 떨어져 미국 주식에 투자한 ‘서학개미’는 헤지하지 않았다면 약 10%의 환차손이 발생했을 겁니다.
관심은 앞으로의 방향입니다. 골드만삭스, JP모간 등은 대선 불확실성 감소, 글로벌 경기 회복 등을 볼 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달러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골드만삭스의 자크 팬들 환율·이머징마켓 전략책임자는 “달러가 현재 무역가중치 인덱스를 기준으로 10~15% 정도 고평가돼 있다”며 최소 몇 분기, 길게는 2023년까지 15% 정도 하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과거 달러 하락이 시작되면 약 5년에 걸쳐 30%가량 떨어졌다”며 “조금 더 하락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팬들은 달러 고평가, 미국의 낮은 실질금리, 글로벌 경제 회복 예상은 달러 약세에서 나타나는 표준적 환경이라고 설명했습니다.
JP모간도 비슷한 이유로 중국 위안화가 달러당 6.25위안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 아시아 신흥국 통화 비중 확대를 추천했습니다.
하지만 정치경제학자인 배리 아이컨그린 UC버클리 교수의 생각은 다릅니다. 그는 골드만삭스와의 인터뷰에서 달러가 고평가나 저평가돼 있지 않다고 했습니다. 또 미국의 쌍둥이 적자는 달러 가치와 별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이컨그린은 달러 가치는 “미국과 글로벌 경제의 상대적 성장률에 달려 있다”며 “세계 경제가 회복돼도 미국의 성장세가 더 가파르면 달러 가치는 지탱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또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는 수십 년간 유지될 것이라고 관측했습니다. 달러를 대체할 만한 통화가 없다는 겁니다.
지난 8월까지 3년간 뉴욕특파원으로 일할 때 환율은 골치 아픈 주제였습니다. 미국에 간 2017년 7월 달러당 1020원 수준이던 환율이 지난 3월 1280원까지 올랐으니까요. 월가의 환율 전문가들도 의견이 중구난방이었습니다. 다만 하나는 의견이 같았습니다. 모든 경제 변수 중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게 환율이라는 겁니다. 미국과 주요국의 재정·통화정책, 무역수지, 수급 등 경제 변수뿐 아니라 국제 정세, 각국의 정권 성향, 중앙은행 인사 등 정치적 변수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realist@hankyung.com
관심은 앞으로의 방향입니다. 골드만삭스, JP모간 등은 대선 불확실성 감소, 글로벌 경기 회복 등을 볼 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달러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골드만삭스의 자크 팬들 환율·이머징마켓 전략책임자는 “달러가 현재 무역가중치 인덱스를 기준으로 10~15% 정도 고평가돼 있다”며 최소 몇 분기, 길게는 2023년까지 15% 정도 하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과거 달러 하락이 시작되면 약 5년에 걸쳐 30%가량 떨어졌다”며 “조금 더 하락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팬들은 달러 고평가, 미국의 낮은 실질금리, 글로벌 경제 회복 예상은 달러 약세에서 나타나는 표준적 환경이라고 설명했습니다.
JP모간도 비슷한 이유로 중국 위안화가 달러당 6.25위안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 아시아 신흥국 통화 비중 확대를 추천했습니다.
하지만 정치경제학자인 배리 아이컨그린 UC버클리 교수의 생각은 다릅니다. 그는 골드만삭스와의 인터뷰에서 달러가 고평가나 저평가돼 있지 않다고 했습니다. 또 미국의 쌍둥이 적자는 달러 가치와 별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이컨그린은 달러 가치는 “미국과 글로벌 경제의 상대적 성장률에 달려 있다”며 “세계 경제가 회복돼도 미국의 성장세가 더 가파르면 달러 가치는 지탱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또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는 수십 년간 유지될 것이라고 관측했습니다. 달러를 대체할 만한 통화가 없다는 겁니다.
지난 8월까지 3년간 뉴욕특파원으로 일할 때 환율은 골치 아픈 주제였습니다. 미국에 간 2017년 7월 달러당 1020원 수준이던 환율이 지난 3월 1280원까지 올랐으니까요. 월가의 환율 전문가들도 의견이 중구난방이었습니다. 다만 하나는 의견이 같았습니다. 모든 경제 변수 중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게 환율이라는 겁니다. 미국과 주요국의 재정·통화정책, 무역수지, 수급 등 경제 변수뿐 아니라 국제 정세, 각국의 정권 성향, 중앙은행 인사 등 정치적 변수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