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두 "미래 먹거리 찾으려면 R&D도 '전략' 필요하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신두 초대 R&D투자혁신기획단장
한국 LCD 세계 1위 이끈 석학
연구개발 장기 계획 수립이 임무
"국가 R&D로 신산업 창출하려면
공공성 지키되 민간수요 부응을"
한국 LCD 세계 1위 이끈 석학
연구개발 장기 계획 수립이 임무
"국가 R&D로 신산업 창출하려면
공공성 지키되 민간수요 부응을"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은 2021년도 기준 27조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해 바람직한 방향이죠. 이렇게 큰 예산이 실제로 국가 경쟁력 강화라는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선 보다 정밀한 ‘기획’이 필요합니다.”
정부 R&D 투자 예산의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집행을 위해 지난달 출범한 ‘연구개발투자혁신기획단’ 초대 단장을 맡은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63·사진)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기획단 출범 취지를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연구개발투자혁신기획단은 국가 R&D 예산을 총괄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설치한 민간 주도 기구다. 이 단장은 연구개발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단 위원 11명의 대표로서 장기적인 국가 R&D 투자 방향을 제시하고, 현행 R&D 투자 시스템 개선 방향을 모색해야 하는 중책을 맡았다.
이 단장은 국가 R&D 예산 투자 문제점에 대해 “연구 성과는 있지만 방향성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A라는 연구 성과를 달성했을 때 A를 발판으로 또 다른 연구가 이뤄져야 신산업 발굴이든 사회적 가치 실현이든 실질적인 결과물로 이어지는데, 지금까지의 투자는 연구 성과물의 사후 활용 가치를 미리 생각하지 않고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고 꼬집었다. 민간 기업과 국민이 국가 R&D의 가치를 느끼기 어려웠다는 게 이 단장의 설명이다.
기획단장으로서 그가 “민간 수요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R&D 예산이 전략적으로 쓰이도록 하겠다”고 말한 것은 이 같은 이유에서다. 그렇다고 국가 예산의 공공성을 저버리겠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 단장은 “민간에서 정말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비용 때문에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연구 분야가 많다”며 “이런 분야를 국가가 앞장서 연구해 추후 민간 연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하자는 것이지, 민간이 알아서 연구할 수 있는 분야까지 다 하자는 게 아니다”고 했다.
이 단장은 LCD(액정표시장치) 분야에서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전문가다. 1988년 한국인 최초로 LCD 개발의 핵심이 되는 액정 물리학 박사학위를 미국에서 받았다. 1992년 귀국한 이후엔 삼성·LG에 특허 등 기술을 제공하며 두 회사 사이의 기술 협력을 이끄는 등 한국이 일본을 제치고 디스플레이 1위로 올라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현재 그는 디스플레이 분야 세계 3대 학회(미국광학회, 국제광전자공학회, 국제디스플레이학회)에 모두 석학회원으로 등재돼 있다.
이 단장은 “지난 28년간 물리학이라는 기초학문이 어떻게 산업화로 이어지는지, 어떤 기술로 무슨 신산업이 창출되는지 직접 보고 겪었다”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국가 R&D 예산이 정권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적재적소에 쓰일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정부 R&D 투자 예산의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집행을 위해 지난달 출범한 ‘연구개발투자혁신기획단’ 초대 단장을 맡은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63·사진)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기획단 출범 취지를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연구개발투자혁신기획단은 국가 R&D 예산을 총괄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설치한 민간 주도 기구다. 이 단장은 연구개발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단 위원 11명의 대표로서 장기적인 국가 R&D 투자 방향을 제시하고, 현행 R&D 투자 시스템 개선 방향을 모색해야 하는 중책을 맡았다.
이 단장은 국가 R&D 예산 투자 문제점에 대해 “연구 성과는 있지만 방향성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A라는 연구 성과를 달성했을 때 A를 발판으로 또 다른 연구가 이뤄져야 신산업 발굴이든 사회적 가치 실현이든 실질적인 결과물로 이어지는데, 지금까지의 투자는 연구 성과물의 사후 활용 가치를 미리 생각하지 않고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고 꼬집었다. 민간 기업과 국민이 국가 R&D의 가치를 느끼기 어려웠다는 게 이 단장의 설명이다.
기획단장으로서 그가 “민간 수요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R&D 예산이 전략적으로 쓰이도록 하겠다”고 말한 것은 이 같은 이유에서다. 그렇다고 국가 예산의 공공성을 저버리겠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 단장은 “민간에서 정말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비용 때문에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연구 분야가 많다”며 “이런 분야를 국가가 앞장서 연구해 추후 민간 연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하자는 것이지, 민간이 알아서 연구할 수 있는 분야까지 다 하자는 게 아니다”고 했다.
이 단장은 LCD(액정표시장치) 분야에서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전문가다. 1988년 한국인 최초로 LCD 개발의 핵심이 되는 액정 물리학 박사학위를 미국에서 받았다. 1992년 귀국한 이후엔 삼성·LG에 특허 등 기술을 제공하며 두 회사 사이의 기술 협력을 이끄는 등 한국이 일본을 제치고 디스플레이 1위로 올라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현재 그는 디스플레이 분야 세계 3대 학회(미국광학회, 국제광전자공학회, 국제디스플레이학회)에 모두 석학회원으로 등재돼 있다.
이 단장은 “지난 28년간 물리학이라는 기초학문이 어떻게 산업화로 이어지는지, 어떤 기술로 무슨 신산업이 창출되는지 직접 보고 겪었다”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국가 R&D 예산이 정권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적재적소에 쓰일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