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으로 경제 살린다"…`SOC 핵심' 신공항 전국 6곳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 가덕·대구경북 통합·새만금·울릉·백령·제주 2공항 건설 본격화
코로나19로 침체한 경기 부양 효과 기대…제주 2공항은 찬반 양론 '첨예' 수많은 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SOC) 중 으뜸으로 꼽히는 신공항을 품으려는 지자체와 주민 열망이 뜨겁다.
대상 지자체들은 공항 건설에 따른 고속도로와 철도 등 교통망 확충, 배후도시 건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침체한 경기 부양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며 저마다 사업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현재 정부가 추진 또는 검토 중인 공항 건설 사업 대상지는 부산 가덕 신공항과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새만금 신공항, 울릉도 공항, 백령도 공항, 제2 제주공항 등 6곳이다.
이들 공항은 이미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후보지가 확정돼 세부 계획을 세우는 단계인 곳도 있지만, 정부 심사를 앞두고 있거나 환경단체 반발 등에 부딪혀 좀처럼 진척을 보이지 못하는 곳도 있다.
◇ 가덕 신공항 재추진 '기대'…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속도'
부산 가덕 신공항은 17일 국무총리실 산하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가 "김해신공항 추진은 근본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면서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다.
부산시가 가덕 신공항을 강력히 주장해 온 만큼 김해신공항은 백지화 수순을 밟고, 가덕 신공항 건설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가덕 신공항은 도심과 가까운 김해공항과 달리, 부산시 강서구에 있는 가덕도 육지와 해상을 매립해 만들려는 공항이다.
부산시는 검증위 결정에 환영 입장을 밝히며, 가덕 신공항을 조기 건설하기 위해 특별법을 제정, 예외·면제조항을 적용해 최대한 신속하게 관련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지역 균형 발전과 시급한 경제·사회적 상황 등을 고려해 예비 타당성 조사도 면제해 달라고 건의하기로 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유럽과 북미를 아우르는 중장거리 국제노선을 갖춘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대구국제공항을 대체하는 민간공항과 군 공항(K-2)을 2028년 동시 개항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지난 8월 군위 소보·의성 비안이 통합신공항 이전 부지로 정해짐에 따라 청사진이 될 기본 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별도로 경북도도 신공항 배후지역 개발과 연관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신공항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항 주변과 배후 약 430만㎡에 1조원을 들여 항공 클러스터를 만든다.
이를 통해 공항 경제권을 구축하고 대구와 경북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은 통합 신공항 건설로 10조2천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5만3천 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추산했다.
◇ 동·서해상 소형 공항 추진…울릉·백령도 대상
국내 섬 지역 소형항공을 대표할 '울릉공항 건설사업'은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지난 15일 첫 삽을 떴다.
울릉공항은 총사업비 6천651억원이 투입돼 50인승 소형 항공기 전용으로 건설된다.
1천200m급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13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기본설계, 사업발주 등의 과정을 거쳐왔다.
이어 올해 7월 대림산업 컨소시엄과 시공 계약을 체결했다.
국토부는 울릉공항이 개통되면 서울∼울릉 소요 시간이 7시간에서 1시간 이내로 단축돼 주민 교통서비스 향상과 관광 활성화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인천시 옹진군도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2026년까지 소형 공항을 짓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백령공항은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솔개간척지 25만4천㎡에 길이 1.2km, 폭 30m 규모의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등을 갖춘 민·군 겸용으로 추진되며 총사업비는 1천74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됐다.
백령공항 건설 사업은 다음 달 기획재정부 제4차 국가재정평가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심의를 통과하면 백령공항 사업은 국가 재정 투입에 대한 당위성을 인정받게 돼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게 된다.
이 사업은 앞서 국토부 투자심사위원회 사업 타당성 연구에서 '비용 대비 편익(B/C)' 값 2.19를 기록하며 사업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비용 대비 편익은 기준값이 1.0으로 이보다 높으면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 수립…제주 2공항은 '찬반 첨예'
새만금에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새만금 신공항은 전북도민의 높은 기대 속에 건설을 위한 기본계획이 수립 중이다.
새만금 신공항은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2020)에 반영돼 그간 항공 수요 조사연구와 사전타당성 검토연구를 거쳤다.
이어 지난해 11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결과 총사업비 7천796억원이 확정됐다.
신공항 예정 부지는 군산공항 서쪽으로 1.3㎞ 떨어진 새만금 내부다.
새만금 신공항은 건설에 총 8천억원 정도가 투입될 예정이며 3.2km 길이 활주로, 6만㎡ 규모 계류장, 여객터미널(1만3천㎡), 화물터미널(1만2천㎡) 등을 갖출 예정이다.
관광의 섬 제주에 제2공항을 건설하는 사업은 시민·사회단체 등의 반발로 좀처럼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국토부와 제주도는 기존 제주공항의 수용 능력이 한계에 다다랐기에 2공항 건설 사업의 추진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2015년 12월 제주도 동부권인 성산읍 4.9㎢(150만 평)에 제2공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도는 2016년 발표한 '지역내총생산(GRDP) 25조원 시대 개막을 위한 제주경제 활성화 종합 추진계획'에서 새로운 공항 건설로 완공 후 3년 차 5천208억원, 4년 차 5천684억원, 5년 차 4천535억원 등 7년간 누적 경제효과만 2조764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공항 개발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은 "제2공항 건설로 섬 지역인 제주에 관광객이 더 많이 유입되면 도민들의 생활 환경이 악화하고 자연환경이 훼손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오수희 홍창진 고성식 손현규 오예진 정경재 기자)
/연합뉴스
코로나19로 침체한 경기 부양 효과 기대…제주 2공항은 찬반 양론 '첨예' 수많은 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SOC) 중 으뜸으로 꼽히는 신공항을 품으려는 지자체와 주민 열망이 뜨겁다.
대상 지자체들은 공항 건설에 따른 고속도로와 철도 등 교통망 확충, 배후도시 건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침체한 경기 부양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며 저마다 사업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현재 정부가 추진 또는 검토 중인 공항 건설 사업 대상지는 부산 가덕 신공항과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새만금 신공항, 울릉도 공항, 백령도 공항, 제2 제주공항 등 6곳이다.
이들 공항은 이미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후보지가 확정돼 세부 계획을 세우는 단계인 곳도 있지만, 정부 심사를 앞두고 있거나 환경단체 반발 등에 부딪혀 좀처럼 진척을 보이지 못하는 곳도 있다.
◇ 가덕 신공항 재추진 '기대'…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속도'
부산 가덕 신공항은 17일 국무총리실 산하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가 "김해신공항 추진은 근본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면서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다.
부산시가 가덕 신공항을 강력히 주장해 온 만큼 김해신공항은 백지화 수순을 밟고, 가덕 신공항 건설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가덕 신공항은 도심과 가까운 김해공항과 달리, 부산시 강서구에 있는 가덕도 육지와 해상을 매립해 만들려는 공항이다.
부산시는 검증위 결정에 환영 입장을 밝히며, 가덕 신공항을 조기 건설하기 위해 특별법을 제정, 예외·면제조항을 적용해 최대한 신속하게 관련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지역 균형 발전과 시급한 경제·사회적 상황 등을 고려해 예비 타당성 조사도 면제해 달라고 건의하기로 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유럽과 북미를 아우르는 중장거리 국제노선을 갖춘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대구국제공항을 대체하는 민간공항과 군 공항(K-2)을 2028년 동시 개항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지난 8월 군위 소보·의성 비안이 통합신공항 이전 부지로 정해짐에 따라 청사진이 될 기본 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별도로 경북도도 신공항 배후지역 개발과 연관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신공항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항 주변과 배후 약 430만㎡에 1조원을 들여 항공 클러스터를 만든다.
이를 통해 공항 경제권을 구축하고 대구와 경북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은 통합 신공항 건설로 10조2천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5만3천 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추산했다.
◇ 동·서해상 소형 공항 추진…울릉·백령도 대상
국내 섬 지역 소형항공을 대표할 '울릉공항 건설사업'은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지난 15일 첫 삽을 떴다.
울릉공항은 총사업비 6천651억원이 투입돼 50인승 소형 항공기 전용으로 건설된다.
1천200m급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13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기본설계, 사업발주 등의 과정을 거쳐왔다.
이어 올해 7월 대림산업 컨소시엄과 시공 계약을 체결했다.
국토부는 울릉공항이 개통되면 서울∼울릉 소요 시간이 7시간에서 1시간 이내로 단축돼 주민 교통서비스 향상과 관광 활성화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인천시 옹진군도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2026년까지 소형 공항을 짓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백령공항은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솔개간척지 25만4천㎡에 길이 1.2km, 폭 30m 규모의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등을 갖춘 민·군 겸용으로 추진되며 총사업비는 1천74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됐다.
백령공항 건설 사업은 다음 달 기획재정부 제4차 국가재정평가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심의를 통과하면 백령공항 사업은 국가 재정 투입에 대한 당위성을 인정받게 돼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게 된다.
이 사업은 앞서 국토부 투자심사위원회 사업 타당성 연구에서 '비용 대비 편익(B/C)' 값 2.19를 기록하며 사업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비용 대비 편익은 기준값이 1.0으로 이보다 높으면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 수립…제주 2공항은 '찬반 첨예'
새만금에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새만금 신공항은 전북도민의 높은 기대 속에 건설을 위한 기본계획이 수립 중이다.
새만금 신공항은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2020)에 반영돼 그간 항공 수요 조사연구와 사전타당성 검토연구를 거쳤다.
이어 지난해 11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결과 총사업비 7천796억원이 확정됐다.
신공항 예정 부지는 군산공항 서쪽으로 1.3㎞ 떨어진 새만금 내부다.
새만금 신공항은 건설에 총 8천억원 정도가 투입될 예정이며 3.2km 길이 활주로, 6만㎡ 규모 계류장, 여객터미널(1만3천㎡), 화물터미널(1만2천㎡) 등을 갖출 예정이다.
관광의 섬 제주에 제2공항을 건설하는 사업은 시민·사회단체 등의 반발로 좀처럼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국토부와 제주도는 기존 제주공항의 수용 능력이 한계에 다다랐기에 2공항 건설 사업의 추진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2015년 12월 제주도 동부권인 성산읍 4.9㎢(150만 평)에 제2공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도는 2016년 발표한 '지역내총생산(GRDP) 25조원 시대 개막을 위한 제주경제 활성화 종합 추진계획'에서 새로운 공항 건설로 완공 후 3년 차 5천208억원, 4년 차 5천684억원, 5년 차 4천535억원 등 7년간 누적 경제효과만 2조764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공항 개발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은 "제2공항 건설로 섬 지역인 제주에 관광객이 더 많이 유입되면 도민들의 생활 환경이 악화하고 자연환경이 훼손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오수희 홍창진 고성식 손현규 오예진 정경재 기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