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협회장 나눠먹는 官피아·政피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官피아 : 관료+마피아
政피아 : 정치인+마피아
'낙하산'에 멍드는 금융업계
은행연합회장 민병두·생보협회장 정희수 부상
"평생 甲 정치인 출신이 금융업계까지 장악"
政피아 : 정치인+마피아
'낙하산'에 멍드는 금융업계
은행연합회장 민병두·생보협회장 정희수 부상
"평생 甲 정치인 출신이 금융업계까지 장악"
주요 금융단체 수장 인사를 놓고 ‘낙하산’ 논란이 재점화하고 있다. 민간 금융회사를 대변해야 할 자리를 관료 출신들이 석연찮게 꿰차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협회장 선출 과정에는 정치인까지 가세했다. ‘관피아(관료+마피아)’ ‘정피아(정치인+마피아)’의 ‘나눠먹기’식 인사가 도를 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금융 관련 단체 및 협회장 자리에 관료와 정치인 출신이 선임되거나 거론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손해보험협회장에는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지난 13일 내정됐다. 지난 16일 퇴임식을 한 정 이사장은 다음달 21일부터 협회장 임기를 시작할 전망이다. 거래소 이사장 자리는 당분간 공석으로 남게 됐다. 차기 서울보증보험 사장은 유광열 전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으로 정해졌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 이사장은 거래소 이사장에 선임될 당시에도 예정된 공모 일정이 갑자기 연기되면서 새로 이름을 올렸었다”며 “정권 입맛에 맞는 관료 출신을 밀어주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이 많다”고 말했다.
정치인 출신도 주요 자리마다 거명되고 있다. 이달 말 결정되는 차기 은행연합회장 자리에는 민병두 전 국회의원이 유력 후보 중 한 명으로 떠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은행연합회 이사회는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나 7인의 ‘롱리스트(잠정 후보군)’를 확정했다. 관료 출신으로는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과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이, 민간에서는 김병호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민병덕 전 국민은행장,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 이대훈 전 농협은행장 등이 포함됐다. 정치권에서는 민 전 의원이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다음달 초 공석이 되는 생명보험협회장 자리에는 정희수 보험연수원장(전 새누리당 의원)이 물망에 올랐다. 진웅섭 전 금융감독원장과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이 잇달아 자리를 고사하면서 급부상했다는 게 업계 얘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민간을 대변해야 할 자리에 ‘갑의 위치’에 있던 관료와 정치인 출신이 계속 거론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향후 본인의 거취를 위해 협회장 자리를 이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소람/김대훈/오현아 기자 ram@hankyung.com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금융 관련 단체 및 협회장 자리에 관료와 정치인 출신이 선임되거나 거론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손해보험협회장에는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지난 13일 내정됐다. 지난 16일 퇴임식을 한 정 이사장은 다음달 21일부터 협회장 임기를 시작할 전망이다. 거래소 이사장 자리는 당분간 공석으로 남게 됐다. 차기 서울보증보험 사장은 유광열 전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으로 정해졌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 이사장은 거래소 이사장에 선임될 당시에도 예정된 공모 일정이 갑자기 연기되면서 새로 이름을 올렸었다”며 “정권 입맛에 맞는 관료 출신을 밀어주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이 많다”고 말했다.
정치인 출신도 주요 자리마다 거명되고 있다. 이달 말 결정되는 차기 은행연합회장 자리에는 민병두 전 국회의원이 유력 후보 중 한 명으로 떠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은행연합회 이사회는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나 7인의 ‘롱리스트(잠정 후보군)’를 확정했다. 관료 출신으로는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과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이, 민간에서는 김병호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민병덕 전 국민은행장,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 이대훈 전 농협은행장 등이 포함됐다. 정치권에서는 민 전 의원이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다음달 초 공석이 되는 생명보험협회장 자리에는 정희수 보험연수원장(전 새누리당 의원)이 물망에 올랐다. 진웅섭 전 금융감독원장과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이 잇달아 자리를 고사하면서 급부상했다는 게 업계 얘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민간을 대변해야 할 자리에 ‘갑의 위치’에 있던 관료와 정치인 출신이 계속 거론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향후 본인의 거취를 위해 협회장 자리를 이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소람/김대훈/오현아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