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 잡는 24번째 대책 나왔다…2년간 공공임대 11만4100가구 공급[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상반기까지 전세형 주택 전국 4.9만가구…수도권 2.4가구 집중 공급

정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24번째 부동산 대책이다. 하지만 임대차법 개정 등 근본적인 해법이 빠진데다 공급 대부분이 1~2인실에 치우칠 것으로 보여 실효성 논란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공실 상가·호텔 리모델링해 2만6000가구 추가 공급
정부는 이날 수도권의 전세난을 타개하기 위해 향후 2년간 전국에 공공임대 11만4100가구를 공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전세난 잡는 24번째 대책 나왔다…2년간 공공임대 11만4100가구 공급[종합]](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467881.1.png)
또한 신축매입 약정을 통해 7000가구(수도권 6000가구)를, 공공전세 주택을 활용해 3000가구(수도권 2500가구)를 2021년 상반기 중 공급할 계획이다. 이 중 신축매입 약정은 민간 건설사가 약정한 물량을 지으면 LH 등 공공기관이 주택을 사들여 임대로 제공하는 주택이다. 정부는 민간 건설사의 참여 확대를 위해 공공택지 우선공급, 건설자금 저리지원, 세제지원 등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전세난 잡는 24번째 대책 나왔다…2년간 공공임대 11만4100가구 공급[종합]](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467907.1.png)
당초 내놨던 비주택 공실 리모델링 방안을 좀 더 민간 중심으로 추진하기 위해 주차장 증설 면제, 장기 저리융자 지원을 실시하게 된다. 오피스텔, 상가 등 집합건축물 리모델링 동의 요건도 100% 동의에서 80%의 동의를 얻으면 가능한 것으로 변경한다. 노후화된 상가 건물 등의 용도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시장에선 매물로 나온 이태원의 크라운호텔 등이 우선순위로 거론된다. 하지만 전문가, 수요자 사이에선 부정적인 반응이 높다. 새 방법도 아니고 효과도 제한적이라는 이유에서다. 앞서 서울시는 종로구 숭인동 베니키아호텔을 개조해 올해 1월 238가구를 청년주택으로 공급했지만 높은 임대료 탓에 당첨자 90%가 입주를 포기한 바 있다. 1년 단위로 계약하는 이 주택은 전용면적(17~43㎡)에 따라 보증금이 2300만~8740만원에 월 임대료가 45만~87만원이었다.
3~4인 가구용 전세공급은
전세 수요자들 사이에서 “1인 가구뿐 아니라 3~4인 가구 거주용으로 활용할 만한 전세 주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도 함께 내놨다. 정부 또한 “임대차 3법과 거주 의무강화 조치 등은 임차인 주거권 강화 및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질서 형성에 큰 도움이 되었지만, 축소균형 과정에서 전세매물 부족 등이 나타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안혜원 /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