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은 채용시 영어인터뷰가 필수 입니다. LG화학, LG상사도 채용과정에서 영어면접이 있습니다. 외국인투자기업들은 채용시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반드시 확인합니다. 갈수록 영어 말하기 능력이 중요시 되는 때인 것이죠.

한국경제신문은 국내에서 벌어지는 경제뉴스를 영문으로 번역해 국내외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취업준비생들이 원하는 영어 내공, 한국경제신문의 영어 뉴스 매체(The Korea Economic Daily Global Edition)가 차곡차곡 쌓아드립니다. 영어 인터뷰때 고급스러운 표현을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더 많은 영문 기사는 'www.kedglobal.com'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의 빅딜' 영어표현은?
▶코스피에 상장(Kospi-listed)된 우리 기업들의 실적(performance)이 3분기에 호전됐다(turned bullish)고 하네요. 조선, 에너지, 철강 업종의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졌답니다(a notable improvement). 매출(revenue)이나 영업이익(operating profit)이 몇% 증가했거나(climbed by, increased by), 줄어들었다(dropped by)고 표현할 때 % 수치 앞에 ‘by’가 친구처럼 따라다닌답니다. 시장 전문가들(market watchers)은 실적 회복세가 내년으로 이어진다고 예상했습니다(forecast the recovery trend to continue into next year). 내년엔 코스피가 2700선을 돌파할 것(exceed 2700)이라는 전망도 내놨습니다.
(더 자세한 원문 기사는 https://www.kedglobal.com/newsView/ked202011180008)

▶전기자동차(electric cars) 뉴스는 언제나 관심을 끕니다. 한국의 ‘빅3’ 타이어 제조업체가 세계 전기차 전용 타이어시장의 점유율 높이기에 나섰습니다(seeking a greater share of the global EV-only tire market). 전기차 타이어는 내연기관 차량과 뭐가 달라 기술 경쟁이 치열할까요. 전기차들은 엔진소음을 내지 않기(don‘t produce engine noise) 때문에 조용한 만큼 정숙성을 유지하려면 타이어와 도로 간 마찰소음을 줄이는 기술(noise reduction technology)이 뛰어나야 한답니다. 전기차 배터리 무게가 내연 엔진보다 더 무거워 타이어 내구성도 더 뛰어나야 한답니다(must have greater durability).
(더 자세한 원문 기사는 https://www.kedglobal.com/newsView/ked202011190005)

▶코로나가 국내 항공업계 구조조정을 촉발했습니다(prompted). 대한항공이 경영위기에 처한(beleaguered) 아시아나항공의 과반 지분(a majority stake in Asiana Airlines)을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성사된다면 대한항공을 단숨에 세계 7위 항공사로 도약시킬 딜입니다(a deal that will catapult it to become the world’s seventh-largest airline). 국내 항공업계에 절박했던 구조조정의 첫걸음이죠(the first step toward the much-needed restructuring). 이 딜을 통해 대한항공이 코로나 유행병으로 초래(posed by the pandemic)된 현재의 위기를 극복할지(tide over the current crisis) 주목됩니다.
(더 자세한 원문 기사는 https://www.kedglobal.com/newsView/ked20201116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