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때 사자"…외화예금 사상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출입 회복·환율하락 영향
외화예금 규모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달러예금은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고, 엔화예금과 위안화예금 등 다른 주요 외화예금으로도 자금이 몰리고 있다.
22일 신한 국민 하나 우리 농협은행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달러예금 잔액은 지난 19일 527억800만달러를 기록했다.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최대 규모다. 다른 외화예금 잔액도 급증세다. 17일 기준 5대 은행의 위안화·유로화·엔화 예금은 각각 63억6600만위안, 45억9000만유로, 4713억6700만엔으로 불어났다. 연초 대비 각각 34%, 23%, 14% 늘어난 것으로 모두 연중 최대치다.
각 외화예금이 일제히 불어난 것은 최근 원화 대비 주요국 화폐의 환율이 약세를 보인 영향이 크다. 원·달러 환율은 18일 달러당 1103원대를 기록, 2년5개월 만의 최저치로 떨어졌다. 위안화·유로화·엔화 환율도 최근 3개월간 하락세를 보였다. 금융권 관계자는 “약달러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자 위안화 등 다른 화폐에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弱달러 시대 온다"…외화 분산 투자 잰걸음
달러를 비롯한 주요국 화폐의 외화예금 규모가 일제히 불어난 것은 이례적이라는 게 금융권 얘기다. 달러 저가 매수를 노리는 단기 움직임과 약(弱)달러 시대에 대비해 엔화 위안화 등을 사들이려는 장기 외화투자 수요가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출입 기업이 만약을 대비해 외화를 비축하고 있는 것도 또 다른 요인으로 풀이된다.
달러가 내릴 때 사두려는 단기 투자 수요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한 시중은행 프라이빗뱅커(PB)는 “달러 가치가 급격히 내리자 ‘쌀 때 사두자’는 투자 심리가 강해졌다”며 “최근에는 당장 환차익이 없더라도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포트폴리오에 달러를 담아두려는 수요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체돼 있던 대외 무역이 최근 회복세를 보인 것도 달러 예금 증가세를 키운 요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반기 들어 수출이 어느 정도 회복되면서 기업 달러 계좌에 수출 대금이 많이 들어왔다”며 “아직까지 불안감이 가시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들어온 달러를 팔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주요 은행들은 내년 이후 달러 약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든이 대통령으로 취임한 뒤 경기 부양에 나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양적 완화 등 달러 가치를 내리는 전략을 취할 확률이 높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것도 이런 전망에 힘을 보탠다. 경기가 살아나면 위험 자산 선호도가 높아진다. 안전 자산인 달러보다 다른 국가 화폐나 자산에 자금이 몰릴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에 따라 위안화 등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금융권 시각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중국과 신흥국 화폐 가치가 크게 오를 것으로 보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며 “단기적으로는 달러에 자금이 몰리겠지만 향후 화폐 분산 투자 움직임이 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정소람/오현아 기자 ram@hankyung.com
22일 신한 국민 하나 우리 농협은행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달러예금 잔액은 지난 19일 527억800만달러를 기록했다.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최대 규모다. 다른 외화예금 잔액도 급증세다. 17일 기준 5대 은행의 위안화·유로화·엔화 예금은 각각 63억6600만위안, 45억9000만유로, 4713억6700만엔으로 불어났다. 연초 대비 각각 34%, 23%, 14% 늘어난 것으로 모두 연중 최대치다.
각 외화예금이 일제히 불어난 것은 최근 원화 대비 주요국 화폐의 환율이 약세를 보인 영향이 크다. 원·달러 환율은 18일 달러당 1103원대를 기록, 2년5개월 만의 최저치로 떨어졌다. 위안화·유로화·엔화 환율도 최근 3개월간 하락세를 보였다. 금융권 관계자는 “약달러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자 위안화 등 다른 화폐에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弱달러 시대 온다"…외화 분산 투자 잰걸음
위안화·유로화·엔화 '사자'…시중은행에 투자자금 몰려
달러를 비롯한 주요국 화폐의 외화예금 규모가 일제히 불어난 것은 이례적이라는 게 금융권 얘기다. 달러 저가 매수를 노리는 단기 움직임과 약(弱)달러 시대에 대비해 엔화 위안화 등을 사들이려는 장기 외화투자 수요가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출입 기업이 만약을 대비해 외화를 비축하고 있는 것도 또 다른 요인으로 풀이된다.
“쌀 때 사두자” 달러 매수 이어져
달러를 매수하려는 움직임은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 이달 초부터 눈에 띄게 늘었다. 원·달러 환율이 2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지난 9일 5대 은행 달러 예금 잔액은 530억3900만달러였다. 직전 영업일인 6일에 비하면 사흘 새 9억7700만달러가 늘었다. 이후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115원60전까지 회복되자 달러 예금 잔액은 517억300만달러로 소폭 줄었다. 감소세는 오래 가지 않았다. 18일 환율이 달러당 1103원대로 29개월 만의 최저치로 떨어지자 달러 예금 잔액도 531억900만달러로 다시 불어났다.달러가 내릴 때 사두려는 단기 투자 수요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한 시중은행 프라이빗뱅커(PB)는 “달러 가치가 급격히 내리자 ‘쌀 때 사두자’는 투자 심리가 강해졌다”며 “최근에는 당장 환차익이 없더라도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포트폴리오에 달러를 담아두려는 수요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체돼 있던 대외 무역이 최근 회복세를 보인 것도 달러 예금 증가세를 키운 요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반기 들어 수출이 어느 정도 회복되면서 기업 달러 계좌에 수출 대금이 많이 들어왔다”며 “아직까지 불안감이 가시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들어온 달러를 팔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시대 대비”…엔·위안화도 인기
위안화·유로화·엔화 예금도 연중 최대치로 불어났다. 각 화폐 환율이 하반기 들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게 주원인이다. 장기적으로 약달러 시대가 예고되면서 주요 화폐에 분산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글로벌 주요 은행들은 내년 이후 달러 약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든이 대통령으로 취임한 뒤 경기 부양에 나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양적 완화 등 달러 가치를 내리는 전략을 취할 확률이 높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것도 이런 전망에 힘을 보탠다. 경기가 살아나면 위험 자산 선호도가 높아진다. 안전 자산인 달러보다 다른 국가 화폐나 자산에 자금이 몰릴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에 따라 위안화 등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금융권 시각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중국과 신흥국 화폐 가치가 크게 오를 것으로 보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며 “단기적으로는 달러에 자금이 몰리겠지만 향후 화폐 분산 투자 움직임이 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정소람/오현아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