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로 몰려오는 로봇기업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市, 두산·현대로보틱스·LG전자·한화기계 등과 연구 협약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
지난 7월 지정되며 큰 관심
丁총리 "뉴딜 사업과 시너지"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
지난 7월 지정되며 큰 관심
丁총리 "뉴딜 사업과 시너지"

대구시는 두산로보틱스, 현대로보틱스, LG전자, 한화기계 등과 지난 28일 이동식 협동로봇 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연구협력을 진행한다고 30일 발표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7월 대구의 성서3·5차산단, 테크노폴리스 등 8.3㎢를 특구로 지정했다.
특구와 관련된 자동차부품 기계분야 13개 기업과 5개 기관은 이동 중에 협동로봇을 활용해 생산효율을 높이는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자동차 램프모듈, 자동차 도어래치, 압력탱크 생산과 전자제품의 검사 및 물류 용접, 비대면 방역살균 공정에 이동식 협동로봇을 적용하기 위해서다.
이근수 시 기계로봇과장은 “사출이나 도장, 바코드를 읽고 검수를 하는 공정이 이동 중에 이뤄지는 이동식 협동로봇은 제조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하고 스마트산단을 완성하는 결정적인 기술”이라며 “로봇기업들에도 고부가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28일 협약식에 참석해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는 한국판 뉴딜사업과 연계하면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며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동식 협동로봇에 대한 장비 개발과 생산현장 안전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및 표준경쟁에서 대구는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됐다.
대구시는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경험을 살려 언택트로봇 융합모델 실증사업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공항 철도 병원 학교 컨벤션·물류센터 등 10개 분야에 적용해 도시의 방역과 안전 로봇산업 육성을 함께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두산로보틱스 관계자는 “이번 특구 사업을 통해 이동식 협동로봇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협동로봇의 글로벌 표준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