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더 달라"며 잠정합의안 걷어찬 한국GM 노조원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GM 노조원들, 임단협 잠정합의안 부결시켜
자동차산업 위기인데…"이기주의 극치" 비판도
美GM 본사, 한국 철수 시나리오 본격 검토할 가능성
자동차산업 위기인데…"이기주의 극치" 비판도
美GM 본사, 한국 철수 시나리오 본격 검토할 가능성
한국GM 노조원들이 2020년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을 거부했다. 장기 파업으로 2만대 이상의 생산차질을 빚은 뒤 가까스로 만든 합의안이었다. 한국GM 노사 갈등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 본사가 한국 철수 시나리오를 본격적으로 검토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GM 노조는 조합원 7775명을 대상으로 임단협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투표 참가자(7364명)의 45.1%인 3322명만 찬성해 부결됐다고 1일 발표했다.
한국GM 노사는 지난달 25일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지난 7월 이후 24차례 교섭 끝에 마련한 합의안이었다. 올해 기본급은 동결(호봉승급분 제외)하고, 성과급과 격려금 등 일시금 400만원을 지급한다는 내용이다. 반대표를 던진 노조원들은 기본급이 인상되지 않고 일시금 규모가 부족한 것을 문제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내 일부 계파는 노골적으로 부결운동을 했다.
업계에서는 우려스럽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임단협 합의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회사가 큰 피해를 입었다. 노조는 교섭 중 부분파업과 잔업 및 특근 거부를 반복했다. 파업일수만 15일에 달한다. 이 과정에서 2만3000대 가량의 생산차질이 발생했다.
GM 본사가 공개적으로 한국GM 철수 가능성을 거론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본사 고위 임원인 스티브 키퍼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이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노사 갈등이 몇 주 내 해결되지 않으면 본사는 장기적으로 한국 사업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고 경고한 것이다.
협력업체 대표들은 한국GM 노조를 향해 '살려달라'고 호소했다. 대표들은 지난달 19일 비를 맞으면서 약 2시간 동안 파업을 중단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노조의 파업이 길어지면서) 일부 업체는 전기료는 물론 직원 급여도 제때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며 "더 이상의 생산 차질이 발생하면 부도를 내는 업체도 생길 것"고 호소했다.
업계에서는 한국GM 임단협 재합의안은 내년에야 만들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재협상 과정에서 또 파업을 하면 회사는 걷잡을 수 없는 위기에 빠지게 될 것"이라며 "미국 본사의 철수 시나리오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건 시간문제"라고 지적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한국GM 노조는 조합원 7775명을 대상으로 임단협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투표 참가자(7364명)의 45.1%인 3322명만 찬성해 부결됐다고 1일 발표했다.
한국GM 노사는 지난달 25일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지난 7월 이후 24차례 교섭 끝에 마련한 합의안이었다. 올해 기본급은 동결(호봉승급분 제외)하고, 성과급과 격려금 등 일시금 400만원을 지급한다는 내용이다. 반대표를 던진 노조원들은 기본급이 인상되지 않고 일시금 규모가 부족한 것을 문제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내 일부 계파는 노골적으로 부결운동을 했다.
업계에서는 우려스럽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임단협 합의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회사가 큰 피해를 입었다. 노조는 교섭 중 부분파업과 잔업 및 특근 거부를 반복했다. 파업일수만 15일에 달한다. 이 과정에서 2만3000대 가량의 생산차질이 발생했다.
GM 본사가 공개적으로 한국GM 철수 가능성을 거론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본사 고위 임원인 스티브 키퍼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이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노사 갈등이 몇 주 내 해결되지 않으면 본사는 장기적으로 한국 사업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고 경고한 것이다.
협력업체 대표들은 한국GM 노조를 향해 '살려달라'고 호소했다. 대표들은 지난달 19일 비를 맞으면서 약 2시간 동안 파업을 중단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노조의 파업이 길어지면서) 일부 업체는 전기료는 물론 직원 급여도 제때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며 "더 이상의 생산 차질이 발생하면 부도를 내는 업체도 생길 것"고 호소했다.
업계에서는 한국GM 임단협 재합의안은 내년에야 만들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재협상 과정에서 또 파업을 하면 회사는 걷잡을 수 없는 위기에 빠지게 될 것"이라며 "미국 본사의 철수 시나리오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건 시간문제"라고 지적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