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를 고려할 때 '거리두기' 격상 효과가 뒤늦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연합뉴스
방역당국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를 고려할 때 '거리두기' 격상 효과가 뒤늦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연합뉴스
방역당국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를 고려할 때 '거리두기' 격상 효과가 뒤늦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2일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이전의 (1·2차) 코로나19 유행 당시 이동량에 비해 이번에는 이동량 감소 폭이 빨리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박영준 팀장은 또 "수도권에서 거리두기 단계를 1.5단계로 올린 지 2주가 지났는데 이후 이동량은 감소했지만 환자 발생 감소 폭은 이동량만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는 상황은 아닌 것 같다"며 "다만 발생 규모를 비교해보면 (수도권 중심의) 2차 대유행 때보다 확진자가 많은 수준에서 거리두기가 시행됐다는 부분도 같이 해석돼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거리두기 2단계가 시작된 지난달 24일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349명이다. 이는 '2차 유행' 당시 거리두기를 강화했던 8월16일(서울·경기, 279명)과 19일(수도권 전체, 297명)보다 50∼70명가량 많은 수준이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쏟아지기 시작하자 지난달 19일 수도권의 거리두기를 1.5단계로 올렸다. 이후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같은달 24일 2단계로 거리두기 단계를 한 단계 더 높였다.

때문에 2차 유행 당시 거리두기 격상 이후 환자 감소까지 걸린 시간 및 규모와 비교하면 이번에는 시간이 조금 더 소요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는 게 박영준 팀장의 설명이다.

박영준 팀장은 현재까지 대중교통을 통한 확진 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고도 말했다.

그는 "대중교통, 특히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했을 때의 전파 가능성에 대해 방역당국에서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