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향한 끝없는 구애…이인영 "코로나19 협력하면 국경봉쇄 필요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북한 주민의 안전이 곧 우리의 안전”이라며 남북한 ‘방역 협력’을 재차 강조했다. 앞서 이 장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북한과 공유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남북교류협력기굼 중 보건협력 항목 예산이 지난해에 비해 400억원 가까이 증액되며 정부의 대북 백신지원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장관은 3일 열린 ‘생태대를 위한 PLZ 포럼 2020’에서 화상 기조연설을 통해 “현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코로나19 극복 중심의 보건의료 협력”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렇게 시작되는 남북 협력이 식량과 비료 등 민생협력으로 이어지고, 철도·도로 등 공공인프라 협력으로 다시 확장돼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방역 협력에 나서면 경제와 민생을 희생하면서까지 강력한 국경봉쇄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도 강조했다. 이 장관은 “한반도는 땅·하늘·바다가 하나로 연결됐고 그동안 말라리아와 결핵·간염·아프리카돼지열병(ASF)·조류독감 등 각종 전염병과 감염병이 비무장지대(DMZ)를 가운데 놓고 서로 전파될 수 있는 상황을 경험했다”며 “이는 역설적으로 남북이 하나의 생명·안전 공동체로 묶여있다는 걸 웅변한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과의 ‘백신 공유’ 가능성을 언급한 이 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우리의 ‘K-방역’ 등 효과적인 시스템을 통해 남북이 협력해 나가는 것은 비단 북한만 도와주자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내년 남북교류협력기금 중 코로나19 등 남북보건협력 항목의 예산이 올해 585억 원에서 955억 원으로 증액 편성됐다. 대북 코로나19 치료제 또는 백신 지원이 현실화될 경우 이 기금에서 우선적으로 집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통일부 관계자는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계약을 체결했는데 북한에 지원할 백신 물량도 고려됐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보건방역 당국과 아직은 구체적 협의를 한 바가 없다”고 답했다.
통일부는 연일 북한에 백신 지원 등 보건 협력 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북한은 이에 호응하지 않고 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이 장관은 3일 열린 ‘생태대를 위한 PLZ 포럼 2020’에서 화상 기조연설을 통해 “현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코로나19 극복 중심의 보건의료 협력”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렇게 시작되는 남북 협력이 식량과 비료 등 민생협력으로 이어지고, 철도·도로 등 공공인프라 협력으로 다시 확장돼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방역 협력에 나서면 경제와 민생을 희생하면서까지 강력한 국경봉쇄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도 강조했다. 이 장관은 “한반도는 땅·하늘·바다가 하나로 연결됐고 그동안 말라리아와 결핵·간염·아프리카돼지열병(ASF)·조류독감 등 각종 전염병과 감염병이 비무장지대(DMZ)를 가운데 놓고 서로 전파될 수 있는 상황을 경험했다”며 “이는 역설적으로 남북이 하나의 생명·안전 공동체로 묶여있다는 걸 웅변한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과의 ‘백신 공유’ 가능성을 언급한 이 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우리의 ‘K-방역’ 등 효과적인 시스템을 통해 남북이 협력해 나가는 것은 비단 북한만 도와주자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내년 남북교류협력기금 중 코로나19 등 남북보건협력 항목의 예산이 올해 585억 원에서 955억 원으로 증액 편성됐다. 대북 코로나19 치료제 또는 백신 지원이 현실화될 경우 이 기금에서 우선적으로 집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통일부 관계자는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계약을 체결했는데 북한에 지원할 백신 물량도 고려됐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보건방역 당국과 아직은 구체적 협의를 한 바가 없다”고 답했다.
통일부는 연일 북한에 백신 지원 등 보건 협력 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북한은 이에 호응하지 않고 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