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 센서·자율주행 레이더…소부장 스타트업, 판을 흔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링크페이스, 실리콘 소재 센서
日 대기업이 먼저 제작 의뢰
글로벌 화장품업체와 협업
비트센싱, 고해상 3D 레이더
장애물 생김새 파악, 충돌 방지
현대重 조선소에 적용 추진
중기부, 소부장 스타트업20 성과
日 대기업이 먼저 제작 의뢰
글로벌 화장품업체와 협업
비트센싱, 고해상 3D 레이더
장애물 생김새 파악, 충돌 방지
현대重 조선소에 적용 추진
중기부, 소부장 스타트업20 성과
심전도와 뇌파 등 생체신호 측정 센서를 만드는 스타트업 링크페이스. 이 회사의 임경수 대표에게 지난 10월 말 일본 사무기기 대기업 F사에서 전화가 걸려왔다. 맞춤형 생체신호 측정 센서 제작을 의뢰하는 전화였다. 임 대표는 3일 “F사가 당초 자국 업체의 센서를 쓰기로 했다가 한국 기업, 그것도 신생 벤처의 센서를 채택하기로 전격 결정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소재 분야에서 깐깐하기로 유명한 일본 대기업으로부터 실력을 인정받은 결과”라고 했다.
실리콘과 카본블랙을 섞어 만든 센서가 상용화된 적은 있지만 유해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임 대표는 “카본블랙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2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고 했다. “건강에 해롭지 않으면서도 전기를 잘 통하도록 설계하는 게 핵심”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기술의 진가를 알아본 해외 대기업은 또 있다. 굴지의 글로벌 화장품 기업 L사가 링크페이스와 최근 실리콘 센서를 활용하는 협업을 하기로 했다. 임 대표는 “실리콘은 유연해서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센서로 쓰기에 제격”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속옷이나 양말 같은 제품에도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실리콘 센서를 넣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런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앞세워 4년 후 매출 목표를 100억원으로 잡았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이런 잠재력을 평가해 올해부터 집중 지원에 나서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스타트업 20곳 가운데 하나로 링크페이스를 택했다. 소부장 스타트업으로 선정되면 최대 2억원 규모의 사업지원금과 100억원 규모의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이 대표는 “현재 상용화된 자동차 레이더 기술은 몇 m 앞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뿐, 장애물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파악하지 못해 완전 자율주행용 레이더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악천후엔 그마저도 인지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그는 레이더와 카메라를 융합한 ‘고해상도 이미징 레이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 대표는 “레이더와 카메라를 합치면 인식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레이더만 쓸 때보다 기술이 더 들어가지만 현재 자율주행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라이다 대비 가격은 100분의 1로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라이다는 라이트와 레이더의 합성어로 레이저를 목표물에 방출한 후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과 강도를 통해 거리 등을 감지하는 기술이다.
비트센싱은 현대중공업의 조선소에 고해상도 이미징 레이더를 적용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지게차와 선체 운송장비 모듈인 트랜스포터 등 조선소 내 운송 수단 간 충돌 사고를 막는 용도다. 충돌 방지용 기술에서 시작해 궁극적으로 완벽한 자율주행을 접목하는 게 목표다. 비트센싱 역시 소부장 스타트업 20곳 중 하나로 선정돼 현대중공업과 연을 맺게 됐다.
그는 “세계적으로 차량용 레이더 업체가 50개를 넘지만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 기업들이 대부분”이라며 “아직 열리지 않은 자율주행 시장에서만큼은 국산 기술이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기술 혁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해외 굴지 기업의 ‘러브콜’
F사가 인정한 링크페이스 센서는 업계의 판을 새로 짜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기가 전혀 통하지 않는 실리콘과 융합돼 뛰어난 전도성을 갖게 해주는 나노 입자를 찾아내 접목했기 때문이다. 실리콘을 소재로 하는 만큼 다양한 형태 및 디자인이 가능하다. 여느 센서처럼 금속이 아닌 실리콘이라서 심전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몸에 부착할 때 차갑지 않은 것도 장점이다.실리콘과 카본블랙을 섞어 만든 센서가 상용화된 적은 있지만 유해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임 대표는 “카본블랙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2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고 했다. “건강에 해롭지 않으면서도 전기를 잘 통하도록 설계하는 게 핵심”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기술의 진가를 알아본 해외 대기업은 또 있다. 굴지의 글로벌 화장품 기업 L사가 링크페이스와 최근 실리콘 센서를 활용하는 협업을 하기로 했다. 임 대표는 “실리콘은 유연해서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센서로 쓰기에 제격”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속옷이나 양말 같은 제품에도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실리콘 센서를 넣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런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앞세워 4년 후 매출 목표를 100억원으로 잡았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이런 잠재력을 평가해 올해부터 집중 지원에 나서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스타트업 20곳 가운데 하나로 링크페이스를 택했다. 소부장 스타트업으로 선정되면 최대 2억원 규모의 사업지원금과 100억원 규모의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미래 핵심 기술에 승부수
비트센싱은 신기술 각축장이 되고 있는 자동차 자율주행 부문에서 기술 독립에 나서고 있다. 자동차 부품업체 만도의 선임 연구원 출신인 이재은 대표가 창업한 이 회사는 자율주행에 핵심 기술로 꼽히는 레이더를 개발하는 업체다. 현재 평면(2D) 수준의 레이더 성능을 입체(3D)로 끌어올리는 작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이 대표는 “현재 상용화된 자동차 레이더 기술은 몇 m 앞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뿐, 장애물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파악하지 못해 완전 자율주행용 레이더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악천후엔 그마저도 인지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그는 레이더와 카메라를 융합한 ‘고해상도 이미징 레이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 대표는 “레이더와 카메라를 합치면 인식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레이더만 쓸 때보다 기술이 더 들어가지만 현재 자율주행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라이다 대비 가격은 100분의 1로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라이다는 라이트와 레이더의 합성어로 레이저를 목표물에 방출한 후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과 강도를 통해 거리 등을 감지하는 기술이다.
비트센싱은 현대중공업의 조선소에 고해상도 이미징 레이더를 적용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지게차와 선체 운송장비 모듈인 트랜스포터 등 조선소 내 운송 수단 간 충돌 사고를 막는 용도다. 충돌 방지용 기술에서 시작해 궁극적으로 완벽한 자율주행을 접목하는 게 목표다. 비트센싱 역시 소부장 스타트업 20곳 중 하나로 선정돼 현대중공업과 연을 맺게 됐다.
그는 “세계적으로 차량용 레이더 업체가 50개를 넘지만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 기업들이 대부분”이라며 “아직 열리지 않은 자율주행 시장에서만큼은 국산 기술이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기술 혁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