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중앙심리부검센터 심포지엄
사회적 해법 필요한 '극단적 선택', 데이터로 진단…예방책 모색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하는 문제가 우리나라의 심각한 사회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그 실태를 데이터로 면밀하게 분석하고 예방책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심리부검센터는 4일 오후 '남겨진 흔적의 의미, 데이터가 말하는 한국의 자살'을 주제로 한 자살 예방 연구 학술 토론회를 개최했다.

복지부 등은 2018년 발표한 '자살 예방 국가행동계획'에 따라 극단적 선택을 저지른 사례의 원인을 과학적 자료를 통해 심층분석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번 토론회도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토론회에서 중앙심리부검센터와 중앙자살예방센터는 '국내 자살 사망 특성 분석의 현주소'를 주제로 통계청 자료나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 방법 등을 설명했다.

극단적 선택 사례를 경제와 환경, 소셜미디어 등과 연계해 분석하려는 연구 내용도 소개됐다.

김은하 사회보장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생활고에 따른 자살 연구'를 통해 자살 사망자 전수조사 데이터와 행복e음 자료를 연계한 뒤, 경제적 요인에서 비롯된 사망 실태를 분석했다.

강대용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는 자살 사망자 자료와 대기오염 노출량 연계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언급하며 미세먼지가 극단적 선택에 미치는 영향 등 환경적 요인을 설명했다.

반면, 김동훈 성균관대 연구원은 소셜미디어의 사용 패턴을 분석해 극단적 선택을 저지를 위험이 큰 사람들을 식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신속한 위기 개입 및 자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참석자들은 연구의 발전 방향에 관해서도 토론을 진행했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다양한 분야에서 자살 예방 연구가 활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근거에 기반한 맞춤형 자살예방정책 추진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심리부검센터의 전홍진 센터장은 "자살 사망 원인 심층분석사업은 국내 자살 사망 특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연구 결과가 자살 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