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7곳 "아직 내년 경영계획 못 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경련, 1000대 기업 설문
철강·車부품 기업 어려움 커
최대 변수는 코로나 재확산
환율·금리변동 리스크도 부담
철강·車부품 기업 어려움 커
최대 변수는 코로나 재확산
환율·금리변동 리스크도 부담
기업 10곳 중 7곳은 아직 내년 경영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불확실성과 환율 변동 등 금융 리스크 때문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6일 매출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21년 기업 경영환경 전망 긴급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151개)의 71.5%가 경영계획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초안만 수립했다’는 기업이 50.3%,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는 기업이 21.2%로 나타났다. ‘경영 계획을 확정했다’는 기업은 25.8%로 네 곳 중 한 곳에 불과했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 자동차부품 기업이 경영계획을 짜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업종은 내년도 계획을 확정한 곳이 한 곳도 없었다. 반면 디스플레이, 반도체 업종은 ‘경영계획을 확정했다’는 응답이 각각 66.7%와 40.0%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기업들은 내년 경영계획 수립 시 가장 큰 애로사항(중복 답변)으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불확실성’(42.9%)을 꼽았다. 이어 △환율, 금리 변동 등 금융 리스크(19.3%) △고용, 최저임금 등 노동정책 부담(14.5%) △미·중 갈등 지속 등 무역 불확실성(9.8%) △정치적 갈등 및 기업 규제 부담(8.1%) 등이 꼽혔다.
당면한 어려움으로는 ‘내수 부진’(29.8%)이 가장 가장 많았다. 이어 △수출 애로(24.2%) △원가 부담(22.8%) △생산 차질(8.7%) △부채 부담(7.3%) △자금 부족(6.6%) 등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 관계자는 “기업들이 경영환경 악화에 따라 긴축경영과 적극적인 자구책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되고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내년 경영계획 수립에 애로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내년 전반적인 경제 여건은 ‘올해와 비슷할 것’(46.4%)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소폭 악화’(25.8%)와 ‘소폭 개선’(23.2%) 응답 비중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응답 기업의 실적 회복 예상 시기는 ‘2022년 이후’(29.8%)가 가장 많았지만 내년 3분기(27.8%)와 4분기(17.2%)라고 답한 기업도 절반 가까이 됐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업지원 정책(중복 답변)에 대해선 30.2%가 ‘세금 인하 및 투자활동에 대한 세제 지원’을 꼽았다. 이어 16.3%는 ‘긴급 운영자금 및 융자 지원’, 15.6%는 ‘기업규제 완화’를 제시했다. ‘환율 등 대외변동성 관리’도 11.5%로 나왔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정부는 기업들의 성장동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파악해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전국경제인연합회가 6일 매출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21년 기업 경영환경 전망 긴급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151개)의 71.5%가 경영계획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초안만 수립했다’는 기업이 50.3%,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는 기업이 21.2%로 나타났다. ‘경영 계획을 확정했다’는 기업은 25.8%로 네 곳 중 한 곳에 불과했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 자동차부품 기업이 경영계획을 짜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업종은 내년도 계획을 확정한 곳이 한 곳도 없었다. 반면 디스플레이, 반도체 업종은 ‘경영계획을 확정했다’는 응답이 각각 66.7%와 40.0%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기업들은 내년 경영계획 수립 시 가장 큰 애로사항(중복 답변)으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불확실성’(42.9%)을 꼽았다. 이어 △환율, 금리 변동 등 금융 리스크(19.3%) △고용, 최저임금 등 노동정책 부담(14.5%) △미·중 갈등 지속 등 무역 불확실성(9.8%) △정치적 갈등 및 기업 규제 부담(8.1%) 등이 꼽혔다.
당면한 어려움으로는 ‘내수 부진’(29.8%)이 가장 가장 많았다. 이어 △수출 애로(24.2%) △원가 부담(22.8%) △생산 차질(8.7%) △부채 부담(7.3%) △자금 부족(6.6%) 등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 관계자는 “기업들이 경영환경 악화에 따라 긴축경영과 적극적인 자구책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되고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내년 경영계획 수립에 애로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내년 전반적인 경제 여건은 ‘올해와 비슷할 것’(46.4%)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소폭 악화’(25.8%)와 ‘소폭 개선’(23.2%) 응답 비중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응답 기업의 실적 회복 예상 시기는 ‘2022년 이후’(29.8%)가 가장 많았지만 내년 3분기(27.8%)와 4분기(17.2%)라고 답한 기업도 절반 가까이 됐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업지원 정책(중복 답변)에 대해선 30.2%가 ‘세금 인하 및 투자활동에 대한 세제 지원’을 꼽았다. 이어 16.3%는 ‘긴급 운영자금 및 융자 지원’, 15.6%는 ‘기업규제 완화’를 제시했다. ‘환율 등 대외변동성 관리’도 11.5%로 나왔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정부는 기업들의 성장동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파악해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