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전기차·수소차 인프라 보급 속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기차 충전기 2000만 세대 보급…"저탄소 신산업 육성"
소외산업·계층은 보호…국민 인식 제고도
소외산업·계층은 보호…국민 인식 제고도
정부가 7일 2050 탄소중립 사회 전환을 위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화석연료 중심이던 에너지 주 공급원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개발 전 과정을 지원하는 '인허가통합기구' 설치를 추진한다.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인 불규칙한 전력공급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수소 등 보조 발전원 활용을 병행하고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확산시켜 자가소비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 기존 발전원에는 기후·환경 비용을 포함하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을 개발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 효율 35% 이상의 최고효율태양전지, 초대형 터빈(12MW), 부유식 풍력, 가상 발전소 등 차세대 기술을 확보해 재생에너지·수소·에너지 정보기술(IT) 등 3대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산업 부문에선 철강, 석유화학 등 탄소 다(多)배출 업종에 수소환원제철 및 전기로, 이산화탄소(CO2) 회수 신기술, 그린수소 활용기술 등을 적용해 저탄소화를 촉진하기로 했다. 산업 밸류체인(가치사슬) 전 과정도 저탄소 구조로 바꾼다. 탄소함유 원료를 저탄소·무탄소 원료로 대체하고 탈탄소 지능형 공정으로 전환한다.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 고부가 유망품목도 육성한다. 버스, 택시, 화물차 등 상용차를 중심으로 전기·수소 등 친환경차 전환을 지원하고 전국 2000만 세대에 전기차 충전기를 보급할 계획이다.
전국에 도심·거점별 수소충전소 2000여곳을 구축하고,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기술 개발을 통해 친환경차의 경제성을 높인다. 무인자율주행 셔틀 등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확대하고 초고속철도망 및 광역·도시철도 등 철도 인프라도 확충한다.
도시·국토 관리 차원에서는 건물의 탄소배출량을 전 생애 주기로 관리하는 '탄소중립도시'를 조성하고 신규 건축물에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규제한다. 중장기적으로는 탄소 저감에 불리한 수도권 집중구조를 다핵구조로 바꾸고 이동 경로와 에너지 관리 효율을 최적화한 '압축형 도시구조'를 적용할 계획이다. 개발제한구역 등 그린 인프라 보전·재생 활동과 산림, 갯벌 등 생태자원을 활용한 탄소흡수 기능도 강화한다.
또한 탄소중립의 핵심 연료인 그린수소 활용을 2050년까지 80% 이상으로 확대하도록 기술혁신 및 상용화에 주력한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에너지 효율화 장치와 탄소배출 분석·관리 시스템 등 '그린 서비스' 분야와 CCUS 산업 육성도 가속하기로 했다.
폐기물 처리 문제를 해결하고 플라스틱 및 일회용품 관련 글로벌 규제 확산에 대응하는 '순환경제'도 활성화한다. 철스크랩, 폐플라스틱 등 산업별 재생자원 이용 목표율을 설정해 원자재 절감을 추진하고 탄소섬유, 그래핀 등 혁신소재 개발 및 사용을 확대한다. 탄소발자국(제품 생산까지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 등 제품의 친환경 정보 제공을 늘리고 전기차 폐배터리, 태양광 폐패널 등 미래 폐자원 재활용체계도 구축한다.
저탄소 구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소외되는 산업과 지역, 노동자에 대한 지원책도 마련한다.
일례로 친환경차 보급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내연기관차 부품업계에 연구개발(R&D), 인수합병(M&A),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사업 재편을 유도하고, 종사자 재교육을 통해 신산업 체계로 편입을 지원한다.
대국민 홍보 사업도 추진한다. 학교, 방송, SNS 등 다양한 매체 및 경로를 통해 환경교육과 홍보를 하고, 시민사회·산업계·중소기업 등 주체별 기후 행동 확산을 지원해 탄소중립 문화를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탄소중립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자 '배출권 거래제 기술혁신·이행 로드맵'도 수립한다. 최적가용기법(BAT) 적용을 통한 기술혁신 촉진 및 파생상품(선물) 도입, 제3차 참여 허용 등이 배출권 거래제 시장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려된다. 정부는 배출권거래제 외에도 세제, 부담금 등 탄소 가격 부과 수단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가격체계를 재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정부는 화석연료 중심이던 에너지 주 공급원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개발 전 과정을 지원하는 '인허가통합기구' 설치를 추진한다.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인 불규칙한 전력공급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수소 등 보조 발전원 활용을 병행하고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확산시켜 자가소비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 기존 발전원에는 기후·환경 비용을 포함하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을 개발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 효율 35% 이상의 최고효율태양전지, 초대형 터빈(12MW), 부유식 풍력, 가상 발전소 등 차세대 기술을 확보해 재생에너지·수소·에너지 정보기술(IT) 등 3대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산업 부문에선 철강, 석유화학 등 탄소 다(多)배출 업종에 수소환원제철 및 전기로, 이산화탄소(CO2) 회수 신기술, 그린수소 활용기술 등을 적용해 저탄소화를 촉진하기로 했다. 산업 밸류체인(가치사슬) 전 과정도 저탄소 구조로 바꾼다. 탄소함유 원료를 저탄소·무탄소 원료로 대체하고 탈탄소 지능형 공정으로 전환한다.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 고부가 유망품목도 육성한다. 버스, 택시, 화물차 등 상용차를 중심으로 전기·수소 등 친환경차 전환을 지원하고 전국 2000만 세대에 전기차 충전기를 보급할 계획이다.
전국에 도심·거점별 수소충전소 2000여곳을 구축하고,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기술 개발을 통해 친환경차의 경제성을 높인다. 무인자율주행 셔틀 등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확대하고 초고속철도망 및 광역·도시철도 등 철도 인프라도 확충한다.
도시·국토 관리 차원에서는 건물의 탄소배출량을 전 생애 주기로 관리하는 '탄소중립도시'를 조성하고 신규 건축물에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규제한다. 중장기적으로는 탄소 저감에 불리한 수도권 집중구조를 다핵구조로 바꾸고 이동 경로와 에너지 관리 효율을 최적화한 '압축형 도시구조'를 적용할 계획이다. 개발제한구역 등 그린 인프라 보전·재생 활동과 산림, 갯벌 등 생태자원을 활용한 탄소흡수 기능도 강화한다.
또한 탄소중립의 핵심 연료인 그린수소 활용을 2050년까지 80% 이상으로 확대하도록 기술혁신 및 상용화에 주력한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에너지 효율화 장치와 탄소배출 분석·관리 시스템 등 '그린 서비스' 분야와 CCUS 산업 육성도 가속하기로 했다.
폐기물 처리 문제를 해결하고 플라스틱 및 일회용품 관련 글로벌 규제 확산에 대응하는 '순환경제'도 활성화한다. 철스크랩, 폐플라스틱 등 산업별 재생자원 이용 목표율을 설정해 원자재 절감을 추진하고 탄소섬유, 그래핀 등 혁신소재 개발 및 사용을 확대한다. 탄소발자국(제품 생산까지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 등 제품의 친환경 정보 제공을 늘리고 전기차 폐배터리, 태양광 폐패널 등 미래 폐자원 재활용체계도 구축한다.
저탄소 구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소외되는 산업과 지역, 노동자에 대한 지원책도 마련한다.
일례로 친환경차 보급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내연기관차 부품업계에 연구개발(R&D), 인수합병(M&A),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사업 재편을 유도하고, 종사자 재교육을 통해 신산업 체계로 편입을 지원한다.
대국민 홍보 사업도 추진한다. 학교, 방송, SNS 등 다양한 매체 및 경로를 통해 환경교육과 홍보를 하고, 시민사회·산업계·중소기업 등 주체별 기후 행동 확산을 지원해 탄소중립 문화를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탄소중립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자 '배출권 거래제 기술혁신·이행 로드맵'도 수립한다. 최적가용기법(BAT) 적용을 통한 기술혁신 촉진 및 파생상품(선물) 도입, 제3차 참여 허용 등이 배출권 거래제 시장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려된다. 정부는 배출권거래제 외에도 세제, 부담금 등 탄소 가격 부과 수단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가격체계를 재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