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01.24671510.1.jpg)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은 9일 "어제 저녁 6시쯤 김남국 의원이 우리 당 조혜민 대변인에게 법사위 낙태죄 관련 브리핑 내용에 항의 전화를 했다"며 "9분여간 이어진 통화내용은 집권당 의원이 맞는지 의심할 정도"라고 말했다.
정 대변인에 따르면 김 의원은 조 대변인에게 전화를 걸어 낙태죄 관련 논평 내용을 항의하는 과정에서 "조치를 하지 않으면 낙태죄 폐지는 물론,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등 정의당이 하는 것은 도와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전날 조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낙태죄 폐지에 대한 여성들의 반대의견은 잘 알겠으나 남성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 등 어이없는 말들을 일삼고 여성들의 삶을 짓밟았던 공청회에서의 망언들을 굳이 다시 언급하진 않겠다"며 "정치의 책임을 다하고 싶다면 이제라도 낙태죄 전면 폐지에 앞장서달라"고 여당에 촉구했다.
조 대변인은 실명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해당 질문을 한 의원은 김 의원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낙태죄 폐지 관련 공청회에서 "(낙태죄 개정안에 대한) 남성의 인식을 알고 싶다", "20∼30대 남성이 낙태죄를 바라보는 남성들의 시선이나 평가가 있나", "(낙태죄 문제는) 남성이 함께 결정해야 할 문제이고 남성도 심각한 책임을 느껴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했다.
정 대변인은 "일면식도 없는 국회의원이 타당 대변인에 전화해 다짜고짜 왜곡된 브리핑이라 몰아붙이는 건 상식적 행위가 아니다"며 "국민 삶과 직결된 법안인 중대재해법, 낙태죄 폐지 법안을 자신의 입장을 관철시키고자 인질 삼아 압력을 행사했다니 집권여당 의원으로서 믿기 힘든 갑질이자 협박으로, 묵과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01.24671509.1.jpg)
김 의원은 그러나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낙태죄 통과 등을 언급하며 정의당이 추진하는 법안의 통과를 돕지 않겠다고 협박했다는 정의당 측 주장에는 해명하지 않았다.
김 의원은 앞서 '추·윤 갈등'과 관련 국회 법사위 행정실로 전화를 걸어 판사들의 집단행동을 유도했다는 의혹을 받은 인물이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