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큐브, 췌장암 치료 저분자화합물 연구 국제학술지 등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롬바르디 암센터 연구진과 공동 개발
CDH11, 췌장암 연관성 밝혀
CDH11, 췌장암 연관성 밝혀
에스티큐브는 미국 조지타운대 롬바르디 암센터 연구진과 공동으로 개발 중인 신규 면역항암제 저분자화합물 'SD133'에 대한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인 소화기학회지(Gastroenterology)에 등재됐다고 9일 밝혔다.
양 기관이 연구 중인 면역조절 물질 'CDH11'은 다양한 자가면역질환과의 연관성이 밝혀져 치료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암 질환에서의 뚜렷한 연구 성과는 없었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CDH11이 췌장암에서 암세포 자체가 아닌 종양 주변의 암관련 섬유아세포(CAF)와 같은 기질세포에 많이 발현돼, 종양의 형성과 성장에 매우 중요한 면역관문 물질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췌장암에서는 면역세포의 공격을 방해하고 있는 기질세포에서 발현하는 면역관문 물질을 억제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역할을 한다는 점을 이번 연구로 밝혔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에스티큐브는 CDH11이 발현되는 동물과 발현되지 않는 유전자조작 동물을 만들어 췌장암세포를 이식한 후 생존기간을 확인했다. CDH11이 발현하는 군은 이식한 종양의 성장이 빨랐고, 평균 생존기간은 17일로 나타났다. 발현되지 않는 군은 종양의 성장이 느려지고, 평균 생존기간이 101일로 늘어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에스티큐브는 CDH11에 결합해 그 기능을 저해하는 SD133 저분자화합물을 개발했다. 췌장암 동종이식 동물(마우스)에서 항암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요한 연구결과로 에스티큐브는 국내외 대형 제약사와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에 대한 협의를 계속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양 기관이 연구 중인 면역조절 물질 'CDH11'은 다양한 자가면역질환과의 연관성이 밝혀져 치료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암 질환에서의 뚜렷한 연구 성과는 없었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CDH11이 췌장암에서 암세포 자체가 아닌 종양 주변의 암관련 섬유아세포(CAF)와 같은 기질세포에 많이 발현돼, 종양의 형성과 성장에 매우 중요한 면역관문 물질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췌장암에서는 면역세포의 공격을 방해하고 있는 기질세포에서 발현하는 면역관문 물질을 억제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역할을 한다는 점을 이번 연구로 밝혔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에스티큐브는 CDH11이 발현되는 동물과 발현되지 않는 유전자조작 동물을 만들어 췌장암세포를 이식한 후 생존기간을 확인했다. CDH11이 발현하는 군은 이식한 종양의 성장이 빨랐고, 평균 생존기간은 17일로 나타났다. 발현되지 않는 군은 종양의 성장이 느려지고, 평균 생존기간이 101일로 늘어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에스티큐브는 CDH11에 결합해 그 기능을 저해하는 SD133 저분자화합물을 개발했다. 췌장암 동종이식 동물(마우스)에서 항암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요한 연구결과로 에스티큐브는 국내외 대형 제약사와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에 대한 협의를 계속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